음식물 쓰레기 처리중단 사태가 10일째를 맞고 있지만 해결 가닥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대구시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공시설의 증설 타당성만 내세우며 "재검토를 선조건으로 협상하자"는 업체 제의를 거부, 양측이 협상 테이블에 앉지도 못하고 있다.
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업체들이 '백기'를 들 것으로 보고 소통 없는 일방통행을 계속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미처리분이 일시적으로 쌓이고 있지만, 신천하수병합처리장을 풀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우려했던 대란은 없다"며 "공공시설 증설(300t) 계획 중단을 요구하는 업체들의 주장은 결코 수용하지 않겠다"며 본격적인 힘겨루기를 시사했다.
시는 한발 더 나아가 "협상 대표들이 수도권 등 타 지역에서 온 사람들로 이뤄져 협상 자체를 진행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구의 13개 처리업체 가운데 3개 업체는 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 차원에서 구성된 비상대책위에 참가하고 있고 나머지 업체는 협상을 위임하고 있다.
이처럼 시와 업체 간 '대화 통로'마저 막힌 상태에서 사태 장기화는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업체들은 시가 공공처리시설 백지화에서 한발 물러서 공공처리시설 추진을 중단한다고 약속하면 협상에 임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성근 비상대책위(영남권협의회 회장) 대변인은 "공공처리시설의 효율성과 적정한 투자시설비, 효율적인 기계·설비, 민간업체의 참여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할 것을 요구했지만 시는 타 시도 대표 중심의 비대위와는 협상할 수 없다며 대화를 거절했다"고 말했다. 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지난 14일부터 비상대책위를 구성, 이번 사태를 전국화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업체들은 "시가 처음부터 증설계획을 가지고 있었다면 업체들에게 충분하게 설명하고 향후 방안을 모색해야 옳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체들은 2006년 하반기부터 지난해까지 시 방침에 따라 수억에서 수십억원까지 추가 시설투자를 했다. 업체 관계자는 "시가 '돈벌이'가 안 되면 그만두면 될 것 아니냐는 식으로 무책임한 행정을 펼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13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업체들은 지난 7일부터 대구시가 1일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680t 가운데 150t(22%)이던 공공처리량을 환경부 기준(60%)에 맞추기 위해 300t 추가 증설하겠다고 한 데 반발해 처리중단에 들어가 있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