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당 영남권 시·도당 全大불참 하루만에 철회

지역위원장 15곳 추가 임명따라

통합민주당 영남권 4개 시·도당이 18일 7·6 전당대회 보이콧 철회를 선언했다. 17일 대의원 배분·지역위원장 선정 등을 이유로 보이콧을 선언한 지 하루 만이다.

이는 당 최고위원회가 이날 대구·울산·경북 등 영남권 지역위원장 15명을 추가로 인준하면서 사고 지역(지역위원장이 없는 곳)이 23곳에서 8곳으로 줄어든 데 따른 것. 이 중 대구는 6곳이 추가돼 12곳 모두, 경북은 3곳이 추가돼 15곳 중 12곳에 지역위원장이 선정됐다. 경북은 경주 손영섭, 고령·성주·칠곡 이원재, 영천 이남희씨 등이 지역위원장으로 선임됐다. 울산은 3곳, 경남은 1곳을 제외한 16곳에 지역위원장이 뽑혔다.

이로써 대구시당은 선출직 대의원 정수 360여명을 채울 수 있게 됐으며 당연직 대의원 20여명과 4·9총선 정당득표율 배분 대의원 20여명을 합쳐 400여명의 대의원이 전당대회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당 대의원은 선출직 대의원 400여명과 당연직·정당득표율 배분 대의원 70~80명을 합쳐 5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당과 경북도당은 19일 "대의원 선정 등 당 운영에 있어 영남권 배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지만 지역위원장 추가선정을 통해 최소한의 조치는 취했다고 본다"며 보이콧 철회 배경을 밝혔다.

이재관 대구시당 사무처장은 "늦게나마 원칙에 따른 결과가 나와 만족스럽다"며 "26일 시당개편대회와 6일 전당대회를 정상적으로 치를 것이다"고 밝혔다. 경북도당도 논평을 내고 "추가선임은 중앙당인 영남권의 목소리에 의미있는 답변을 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시도당 개편대회 및 성공적인 전당대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영남권 배제 및 반발 사태에 따른 책임론이 대두되면서 당 대표 경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대구출신 추미애 의원에 대해 '지역 출신이면서 사태를 수수방관했다"는 비판이 집중 제기되고 있다.

정세균 후보 측 윤호중 대변인은 "추 후보 측은 지역위원장을 추가 선임할 경우 경선 자체에 불응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전해왔다"면서 "사실상 반쪽 전대를 주장하고 전국정당의 염원을 외면하는 것이며, 영남지역 당원들의 소망을 저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추 의원 측은 "완전한 거짓말이고 뒤집어씌우기"라며 "우리의 주장은 후보 등록 이후 대의원 선정문제는 선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 후보들과 협의해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반박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