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나라당 국회의원·대구시 정책간담회'는 "지난 10년간 침체일로를 걸어온 대구경제살리기에 한목소리를 내자"로 결론됐다. 특히 이날 정책간담회는 10년 야당 생활에서 집권여당으로 돌아온 한나라당이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대구시와 처음 가진 자리여서 시민들의 관심과 기대 또한 큰 자리였다. 하지만 이날 당정 협의는 대구경제가 잃어버린 10년을 벗어날지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려도 있었다.
◆국회의원, '시가 한 게 뭐 있나'=이날 참석한 11명의 국회의원들은 과거 여느 당정 협의처럼 대구시를 돕겠다는 결론으로 이날 정책간담회 자리를 떴지만 결론에 앞서 시정에 대한 질타를 쏟아냈다.
주성영 의원(동갑)은 "김범일 시장이 취임한 후 지난 2년간 시가 변했다고 생각하는가. 국회의원들이 게으른 것인가, 아니면 공무원(대구시)이 무능해서인가"라며 시정을 질타했다.
주호영 의원(수성갑)은 "시는 대구가 정부예산 심의 때 차별을 받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는가. 시민들이 올라가 시위를 해서라도 대구가 차별을 받고 있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정부가 혁신도시 전면 재검토 움직임을 보일 때 대구시는 체념하는 분위기였다" (유승민 의원·동을),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수도권 규제 완화와 관련해 정부를 정면 공격했는데 대구시장은 바로 맞받지 않고 뭘했느냐"(조원진 의원·달서병) 등 시의 정책 불신 발언이 쏟아졌다.
시의 예산 확보 노력과 관련, 배영식 의원(중남구)은 "타시도는 정무부시장이 예산확보를 위해 중앙부처에 상주하다시피하는데, 대구는 그런 노력을 했느냐"고 반문한 뒤 "예산 확보를 위해 시의 적극적인 자세 변화와 함께 정치인, 상공인 등과의 입체적인 노력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종근 의원(달서갑)은 인천 송도지구의 성과를 시가 배워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DGIST의 교육기능과 대구경북 경제자유구역의 국제교육기능 등 시가 추진중인 사업 중 중복되는 사업이 적잖다"며 "종합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의 서민정책 부재도 지적됐다. 이명규 의원(북갑)은 "서민들의 먹고사는 문제가 급한 상황에서 테크노폴리스 운운하는 것은 '마이동풍'"이라며 "서민정책을 더 진지하게 접근하고 수립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 시장, '도와 달라'=김 시장은 대구시가 추진 중인 정책에 조금씩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한꺼번에 열걸음을 뗄 수는 없지 않느냐. 한걸음씩 나아가고 있다"는 말로 의원들을 이해시켰다. 하지만 김 시장은 "주요 정책들이 성과를 내기에는 아직도 역부족"이라며 "(의원들의) 지원과 고견을 바란다"고 말했다. 결론은 도와 달라는 것.
이에 대해 이날 정책간담회를 지켜본 한나라당 대구시당 한 관계자는 "김 시장은 지난 2년간 수많은 정책을 내놓고 추진했지만 현 시점에서 시민들에게 자랑할 만한 정책이 도대체 뭔지 반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시당의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시가 중앙정부와 여당을 상대로 한 정무 기능은 부끄러운 수준"이라며 "국회의원들에게 도와 달라고 말하기에 앞서 시의 자세부터 바꾸어야 한다"고 밝혔다.
◆탁상공론 이젠 그만=이날 정책간담회를 지켜본 정치권 인사들은 더 이상 당정협의가 '탁상공론의 자리'가 아니길 기대했다. 정치권 한 인사는 "이날 참석한 11명의 한나라당 국회의원들과 대구시가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대구가 정권을 재창출했다', '대구가 바닥을 칠 절호의 기회'라고 떠들면서 과연 그동안 대구경제살리기에 제 역할을 했는지 되묻고 싶다"고 했다. 실제 한나라당 의원들의 경우 지난 2월 새정부 출범 이후 친이·친박 등 당내 권력투쟁, 친박 의원 복당 및 입당 등 소모성 정치논쟁만 벌였다. 그동안 정부의 주요 정책 결정과정에서 대구가 소외된 데는 국회의원들도 무관하지 않다.
지역 정치권은 "대구시의 정책 추진에는 지역 국회의원들의 지원사격이 절실하다. 향후 국회 상임위 배정에서 지역 몫을 반드시 찾아야 하고, 또한 당내 권력싸움보다는 이제 대구를 위해 뛰어야할 시기"라고 지적했다.
대구시에 대해선 정책의 연속성과 실효성을 지적하며 "성과도 없는 백화점식 정책만 남발하지 말고, 타시도보다 비교우위를 점하는 정책을 입안하고, 중앙정부의 신뢰를 이끌어낼 만한 정책 하나라도 제대로 내야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