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양 등 봉화 일대가 쑥대밭이다. 사흘 전 수백㎜ 비가 한꺼번에 쏟아진 결과다. 그런 폭우 때 산악지형 계곡 물이 급격히 불어나는 모습을 목격자들은 흔히 '물이 서서 달려오더라'고 묘사한다. 하지만 이번엔 물뿐 아니라 산까지 그랬다고 했다. 나무조차 쓰러지지도 않은 채 산이 통째 밀려 내려와 마을을 덮쳤다는 얘기다.
그런 정황이니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는 따질 필요도 없을 것이다. 꼭 10년 전이던 1998년 8월 1일 이후 한 달여간 전국에서 벌어졌던 참극이 다시 떠오를 뿐이다. 그때 첫 제물은 지리산 계곡이었다. 하룻밤 새 그곳에서만 110명 가까운 목숨이 희생됐다. 그 닷새 후에는 경기도 북부권에 상상을 초월한 물 폭탄이 떨어져 또 1백수십 명이 숨졌다.
이번 봉화 참사는 그달 12일 600여㎜나 되는 폭우로 황폐화됐던 상주 이안천 유역의 비극을 빼닮았다. 속리산권 넓잖은 골에 그 많은 비가 쏟아지면서 골 전체가 확 둘러 파여 버렸듯, 이번엔 백두대간 옥석산(1,242m)-도래기재-구룡산(1,346m) 구간 바로 밑 운곡천 유역이 쓸려나간 것이다.
어제 곧바로 많은 자원봉사자와 공무원'군인 등이 현장에 뛰어들었다. 펄흙이 4m나 되게 쌓였다지만 이들의 부드러운 마음 앞에서는 눈 녹듯 할 수밖에 없을 터이다. 하지만 그 힘으로도 할 수 없는 일은 있다. 유사한 폭우가 다시 기습할 경우에 대비해 물 가둘 댐을 만드는 일, 다시는 이런 참극이 없게 항구복구를 철저히 하는 일, 거기에 필요한 엄청난 경비를 마련하는 일 등등이 그것이다.
봉화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줘야 가능해질 일들이다. 어제 국무총리가 현장을 다녀가기도 했으니, 수재민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서라도 조속한 후속 조치가 있어야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