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자체 '녹색 성장' 불붙었다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을 제시하고 향후 세계 경제축이 '그린·에코 이코노미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국내 각 지자체들이 저탄소 녹색성장 허브 이미지 선점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자체들은 탄소포인트제 도입, 탄소배출권 사업화를 앞다퉈 시행하거나 탄소배출거래소 유치를 위해 지자체 간 공조에 나서는 등 관련 산업 육성에 나섰다.

또 관련 조례 제정에서부터 협의회나 전문가단을 구성,'탄소제로' 도시 마스터플랜을 작성 중이고 이를 도시 브랜드화하는 데도 착수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전력거래소와 손잡고 '탄소배출권거래소' 공동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탄소배출권거래소는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기업별로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이 할당되면 할당량 대비 잉여분과 부족분을 거래하는 곳. 세 기관은 최근 유치를 위한 협약을 맺고 실무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부산시도 증권선물거래소와 탄소배출권시장(KCER) 설립을 추진 중이고, 온실가스를 줄인 시민에게 공공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주는 '탄소포인트제'를 이달 중순부터 시범 시행한다.

서울시는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기후변화 대응조례'를 만들었다. 온실가스 감축 참여시민에게 금융·세제상의 인센티브를 주고 온실가스 저감설비에 투자한 기업이나 건축주에게도 혜택을 준다. 창원시는 내년부터 전기와 도시가스에 대해 탄소포인트제를 도입, 인센티브를 주고 상수도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인천·부산·창원·전남도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자체들은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나 신도시를 친환경·에코타운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10년 전부터 '솔라시티'를 선언하고 친환경 행정, 친환경 산업 육성에 나선 대구시는 최근 태스크포스를 구성, 녹색성장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생활폐기물 매립가스를 자원화해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탄소배출권을 시장화했고 하수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바이오메탄가스와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에도 착수할 예정인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후변화 협약이 시행되면 온실가스 비용을 지불해야 할 기업들도 발등의 불이다. 포스코는 친환경 에너지사업을 다각화하고 있고 설비 첨단화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등 친환경 경영에 힘쏟고 있다. 비제조업 기업인 대구은행도 친환경·녹색경영을 강화하는 등 대기업은 물론 중견기업, 지역 다수 기업들도 솔라셀, 풍력, 하이브리드카, 수소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장비 및 관련 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다.

진병용 대은경제연구소 본부장은 "대구경북이 그린시티 조성과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을 선점하고 육성하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지역 여건을 반영하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시민과 기업들에 공감대를 확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