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왜 4대도시로 전락했나" 국감서 원인 추궁

▲ 20일 오전 10시 대구시청 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이던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대구시청 국정감사에 민주당 의원들이 쌀 직불금관련 규탄대회 참석으로 불참, 국정감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국감의원들의 자리가 텅빈 대구시청 국감장. 정우용기자 vin@msnet.co.kr
▲ 20일 오전 10시 대구시청 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이던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대구시청 국정감사에 민주당 의원들이 쌀 직불금관련 규탄대회 참석으로 불참, 국정감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국감의원들의 자리가 텅빈 대구시청 국감장. 정우용기자 vin@msnet.co.kr

대구가 인구와 경제성장, 재정자립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천에 뒤처져 사실상 제4의 도시로 추락하고 있다. 20일 열린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은 원인 추궁을 하고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정갑윤 의원(한나라당)은 대구의 실질성장률이 2003년 이후 2%대에 머물고 있는데 비해 인천은 꾸준히 증가해 2배 가까운 차이를 보인다고 밝혔다. 인구 역시 2002년 이후 올해까지 대구는 7만3천명이 줄어들었으나 인천은 5만8천명이 늘어 도시의 성장세 자체가 대조적이라고 지적했다. 2007년 말 현재 대구시의 인구는 251만2천670명으로 인천의 271만40명에 비해 20만명 가까이 적다. 재정자립도 역시 인천은 2006년 69.2%에서 2008년 71.0%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비해, 대구는 같은 기간 70.7%에서 59.5%로 11.2%나 떨어졌다.

권경석 의원(한나라당)은 대구의 1인당 GRDP(지역내 총생산)가 1998년 이후 전국 16개 시도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어 경기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구는 경제활동 인구가 전국의 5.0%나 되고 5인 이상 제조업체 수가 전국의 5.7%나 되지만 대구지역의 총생산(GRDP)은 전국대비 3.3%이며 지난해 수출액은 40억달러로 전체 3천714억달러의 1.1%에 불과했다.

권 의원은 특히 대구가 섬유산업 육성을 위해 야심차게 추진한 '밀라노 프로젝트'가 실패작이 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밀라노 프로젝트에는 1999년 이후 올해까지 9년여 동안 8천778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음에도 업체 수, 종업원 수, 출하액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외자 유치 실적에서도 대구는 2천142만달러 수준으로 서울 25억달러, 인천 2억3천793만달러, 부산 1억2천837만달러 등에 비해 저조했다.

이와 관련, 의원들은 대구의 과거 주종산업이었던 섬유산업을 대체할 신성장동력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안경률 의원(한나라당)은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중점 육성해 대구를 저탄소 녹색환경도시로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인재 확보, 기술 개발, 정책 지원 등에서 경쟁력을 갖추면 중앙정부 지원도 용이해 녹색성장 산업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경기자 kj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