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초교생 '수학 콤플렉스' 탈출하기

'개념이해' 기초부터 다져라

▲ 수학에 흥미를 느끼려면 자기 수준에 맞는 교재로 매일 꾸준하게 공부하는 것이 좋다. 교구를 이용해 점대칭을 재미있게 배우는 초등학생들. 김교영기자
▲ 수학에 흥미를 느끼려면 자기 수준에 맞는 교재로 매일 꾸준하게 공부하는 것이 좋다. 교구를 이용해 점대칭을 재미있게 배우는 초등학생들. 김교영기자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을 둔 최모(39)씨는 전업주부여서 취학 전부터 아들의 공부를 도와줬다. 국어, 영어 등 다른 과목들은 그럭저럭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없었지만 수학은 버겁다고 한다. 특히 고학년이 되니까 아이가 수학공부 때문에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 것 같다고 한다. 수학은 초교 4학년 정도 되면 어렵게 느껴진다. 실제로 어렵기도 하지만 수학에 대한 콤플렉스도 이유가 되기도 한다. '수학 콤플렉스',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초교 5학년, 수학의 고비

대부분 초등학생들은 1~3학년 때는 수학을 그렇게 어렵게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4학년쯤 되면 부담을 갖게 된다. 사칙연산을 기본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5학년이 되면 실력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아이들에게 수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는 문제의 지문에 있다. 와이즈만 대구중부센터 송은경 원장은 "초교 고학년이 되면 수학 문제의 지문이 길어져 아이들이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수학은 문제만 잘 이해해도 50%는 풀 수 있다"고 말했다. 틀린 문제의 요지를 말로 설명해 주면 아이들이 그 문제의 정답을 찾아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지문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수준에 맞는 부교재 선택

자신의 수준보다 높은 문제집(부교재)으로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상당수 초등학생 학부모들은 자존심과 욕심 때문에 옆집 아이가 A수준의 문제집을 본다면 자녀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똑같은 문제집을 풀도록 시킨다. 지나친 부모의 욕심은 자녀가 수학과 등지도록 하는 결과를 부를 수 있다. 아이들은 난공불락의 문제를 풀면서 패배감을 느끼게 되고, 나아가 수학을 멀리하게 되기도 한다. 송 원장은 "수학은 자신감이 중요하다"며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집을 풀면 성취감과 재미를 느껴 수학과 친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급증 버려야

한 문제를 놓고 자녀가 끙끙대는 모습을 보면 많은 부모들은 혈압이 오른다. 정답과 해설을 보여주면서 아이를 다그치기도 하고, 심지어 핀잔을 주기도 한다. 자녀가 수학을 잘하기 바란다면 이런 자세부터 버려야 한다. 문제를 푸는 데 시간이 걸려도 끝까지 기다려주고 스스로 풀이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제가 요구하는 수학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정답만 확인하고 넘어가면 유사한 문제가 나올 경우 답을 찾지 못하게 된다. 정답을 보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해서 문제를 풀도록 하고, 정답을 확인할 때도 종이로 가려 한 부분씩만 보면서 문제 풀이의 힌트를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신중학교 수학과 조현 교사는 "수학의 경우 단기간에 공부의 성과를 보겠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며 "자신의 수준을 인식하고 기초가 부족하면 기초부터 다시 해야 하며, 길게는 6개월~1년 정도의 시간을 갖고 느긋하게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선행학습은 필수?

방학을 이용해 1학기 정도의 선행학습을 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물론 영재학교나 영재교육원, 과학고 등의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이보다 더 많은 선행 및 심화학습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나친 선행학습은 절대 금물. 자기 학년 수준의 심화학습이 가능한 경우에 선행학습이 이뤄져야 한다. 조현 교사는 "선행학습을 하는 학생들 가운데 정작 학교 시험에서 90점 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수박 겉핥기식 선행학습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학교 수업도 소홀히 하는 부작용을 부른다"고 말했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