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화예술창작벨트', 국비 지원 더 늘려야

기대를 모았던 '대구문화창조발전소' 건립이 예산 문제로 출발부터 난관에 부닥쳤다니 유감스럽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폐산업시설을 문화공간으로 되살리기 위한 '지역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창작벨트 조성' 2009년도 시범사업 대상지로 대구의 KT&G 구 연초제조창 등 전국적으로 5곳을 최종 확정했다.

물론 환영할 일이다. 연초제조창은 산업유산적 의미나 공간활용도, 접근성 등에서 경쟁력이 앞섰던 만큼 좋은 결과가 예상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짜놓은 예산은 쥐꼬리 수준이다. 겉으로만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를 내세워 생색만 낸 격이다. 당초 대구시는 이곳을 전시공간 및 문화예술 창작공간 등으로 조성하기 위해 향후 3년간 국비 107억 원, 시비 70억 원 정도를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문화부의 관련 전체 예산은 38억 원에 불과, 5개 지역에 똑같이 나눈다 해도 고작 7억 원 정도다.

모든 것이 서울 중심이 되고 있는 지금 지방의 문화예술은 고사 직전에 있다. 정부가 뒤늦게나마 폐산업시설의 문화공간화라는 세계적 추세에 보조를 맞춰 도입한 이 프로젝트에 지방 문화예술계가 거는 기대가 적지 않다. 그런 만큼 턱없이 적은 정부 지원액이 우리로서는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대안은 두 가지 정도다. 당초 계획을 대폭 수정하는 것과 국회에 예산 증액을 요구하는 것. 이 프로젝트가 침체된 대구 문화예술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불필요한 부분은 줄이되 규모 축소는 최소화했으면 한다. 결국 국회 예산 심의 때 이 사업의 전체 예산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 지원액을 늘리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정부도 이번이 시범사업인 만큼 대폭적인 예산 증액으로 지방 문화계에 희망을 안겨주었으면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