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藥' 쓰지 않는다고 무심코 버리면 '毒'

무심코 버린 의약품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킬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가.

실제로 지난해 수도권 주민 식수원인 팔당호에서 항생제 성분이 검출됐고 낙동강 등 4대강 유역에는 잔류 의약품과 항생제에 의한 생태계 교란과 수질오염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그러나 시민 10명 중 8명이 가정 내 불용의약품을 무심코 버려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환경운동연합과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가 지난 9월 22일부터 30일까지 대구시(달성군 제외)에 소재한 약국을 이용하는 시민 921명을 대상으로 '가정 내 불용의약품 폐기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해보니 가정 내 불용의약품을 버려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 조사 대상자의 82.7%에 달했다.

약을 버릴 때 '쓰레기봉투에 넣어 버린다'는 응답자가 86.4%로 가장 많았고 '하수구에 버린다'는 응답자도 13.5%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버리는 약의 종류는 해열진통제(53.7%), 항생제(50.0), 외용약(33.9) 순이었다.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65.3%는 가정에서 버려지는 약이 환경오염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그리고 불용의약품 폐기 사업을 실시하면 60.5%의 응답자가 참여하겠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숙자 간사는 "서울시는 항생제 내성관리 종합대책 일환으로 가정 내 의약품의 올바른 사용과 회수, 처리 사업을 시범적으로 벌이고 있지만 지역에서는 속수무책"이라며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의 경우 제약사들이 무료로 가정 내 의약품을 수거하는 제도를 실시하는 만큼 지역도 하루빨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과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1월 중에 대구시, 시의회와 함께 가정 내 불용의약품의 올바른 폐기와 수거체계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임상준기자 zzu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