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상류에 자리 잡은 봉화 석포 ㈜영풍제련소의 낙동강 수질오염 문제(본지 27일자 5면 보도)를 국회 등에 제기한 이태규(사진·전 안동시의원)씨.
이씨는 지난 7월 25일 봉화에서 200㎜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린 후 낙동강 상류 60여km에서 민물고기들이 집단폐사하자 인근 주민들과 낚시 동호인, 수석인 등 300여명의 서명을 받아 국회와 감사원에 '물고기 집단폐사' 원인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냈다.
이씨는 청원서를 통해 "해마다 홍수가 난 후 물고기가 떼죽음 당하는 것을 봤는데 올해는 폐사 정도가 매우 심했다"면서 "봉화 소재 영풍제련소 때문에 물고기가 폐사한 것으로 의심되지만 물증을 찾지 못해 발을 구르고 있다"고 했다.
이씨는 "봉화지역에는 낙동강 본류 외 여러 소하천이 흐르고 있고 낙동강 본류의 물고기들은 자취를 감췄지만 다른 소하천에서는 다슬기나 물고기들이 살아 있는 것을 목격했다"며 "물고기 떼죽음의 원인이 낙동강 본류가 관통하는 자리에 있는 문제의 제련소에 있다는 의혹이 강하다"고 했다.
특히 이씨는 2001년 환경부가 의뢰한 용역 결과 낙동강 상류에 수질 자동측정소 설치가 건의됐지만 자동측정망 8곳이 운영되고 있는 임하호 상류로 옮겨진 것에 대한 의혹도 제기했다.
이씨는 "환경부 등 정부차원의 발빠른 현장조사와 실태파악을 통해 낙동강 중금속 오염 문제에 대한 현실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동·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