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시련의 출발점'에서 '역사적 순간'된 광복

교육과학기술부가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보완 결과를 최종 확정했다. 정부의 수정 지시와 추가 수정 권고, 출판사 자체 수정 등 과정을 거쳐 모두 206건의 수정이 마무리됐다.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표현은 줄어든 반면 우리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는 내용이 늘었다. 8'15 광복만 하더라도 '자주 독립 위한 시련의 출발점'에서 '역사적 순간'으로 바뀌어 제자리를 찾았다. 좌편향 논란을 빚어왔던 교과서의 상당 부분이 제자리를 찾게 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교과서의 좌편향 문제를 지적해온 교과서포럼은 '교과부의 최종 수정안이 용두사미, 함량미달'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교과서가 좌편향 교과서의 논리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자구 수정만 했기 때문에 결과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반면 진보 성향 단체의 반발은 여전하다. 이들은 검정교과서를 저자 동의 없이 정부가 수정 압력을 넣어 고친 것은 검인정제도의 근간을 뒤흔드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5명의 저자는 '자신들의 동의 없이 교과서 내용을 수정한 것은 저작권 침해'라며 교과서 수정 금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내두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배우는 교과서에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바로잡는 것이 순리다. 일부 교과서가 그동안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하는 등 사회의 보편적인 정서를 반영하지 못했다면 고쳐 마땅하다. 절차나 개인적 해석의 다양성 등을 내세워 수정을 거부할 문제는 아닌 것이다.

그렇다고 보수 단체가 마냥 자기 고집만 할 것도 아니다. 정부 부처와 보수 단체가 요구했던 253건의 최초 수정 요구안 중 출판사와의 이견으로 수정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단 1건에 불과하다. 계속되는 교과서 논란은 교육 현장에 혼란을 부를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