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우' 송아지 값이 3만 원에도 채 못 미친다고 한다. 일 년 전 40만∼50만 원 하던 게 올여름 이후 강아지 값보다 싸게 폭락했다는 것이다. 큰소 값은 떨어졌는데 사료 값은 폭등해 한 마리 키울 때마다 수십만 원씩 손해가 나기 때문이라고 했다.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생산 농가가 망하는 것은 물론이고 나라 전체의 육우 기반마저 무너질 판국이다.
어제 축산농민들이 전국 도청에서 일제히 육우 대책을 호소했다. 그 나흘 전에는 청도의 한 농민이 육우를 싣고 국회까지 달려가기도 했다. 정부는 작년 4월 이후 여러 가지 축산 대책을 거듭 발표했지만 역시 별무효험이라는 것이다. 도시 소비자 가격에 끼인 거품을 걷으면 우리 소고기 소비가 늘 것이라고 큰소리쳤지만 거둬진 성과는 없다. 내년부터 소고기 이력추적제를 전면 시행해 국내산의 변별력을 높인다 하나 거개가 반신반의할 뿐이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스스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쪽으로 축산업 자체가 진보해 가는 것 외에는 길이 없다. 그러나 그때까지 기다리기엔 지금 상황이 너무 급박한 현실이다. 육우 송아지 생산안정제 시행, 육우고기 수매 및 안정적 소비망 확보 같은 축산농민들의 요구는 그래서 나온 것이다. 또 손을 벌리느냐고 할지 모르나 그렇게만 볼 일은 아니다. 우리는 은행을 지원하고 미국'유럽 등 자유주의 경제체제의 선진국들조차 자동차업계 지원에 나선 마당이다.
문제는 역시 관심의 정도다. 자동차업과 은행업은 커 보이면서도 농업과 축산업은 어느 구석에 있는지조차 늘 잊고 지내는 무관심이 두렵다는 말이다. 축산업을 죽게 만들어 버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2차 3차 산업 못잖게 1차 산업 또한 위기임을 직시할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