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와 BMW, 아우디 등 독일 고급차들이 유독 국내에서는 판매량이 크게 늘어났다. 지난해 경기 침체로 전 세계 시장에서 판매가 저조했지만 한국 시장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난 것. 이 같은 현상은 지역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와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160만대를 팔았다. 2008년 210만대에 비해 31%나 줄어든 수치다. 특히 주력 모델인 C클래스의 판매가 27.9% 줄었다. BMW도 11.1% 감소했다. 주력인 3시리즈와 5시리즈의 판매가 지난해 각각 16.3%, 13.0% 줄었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X5 판매대수도 23.7% 내려앉았다. 아우디도 지난해 94만9천여대를 판매해 전년(100만3천여대)보다 5.4% 줄었다. 특히 최고급 세단인 A8는 42%, A6는 10.8%가 덜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시장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을 보였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해 국내에서 8천915대를 팔아 2008년(7천230대)에 비해 판매량이 23.3% 증가했다. C클래스 판매는 8.9% 줄었지만 신형 모델이 잇따라 출시된 E클래스는 2008년 1천757대보다 2배 이상 늘어난 3천564대를 팔았다. BMW도 2008년 8천396대에서 2009년 9천652대로 판매량이 15% 신장했고, 아우디는 2008년 4천754대보다 40.2% 증가한 6천664대를 팔았다.
이 같은 추세는 대구경북도 마찬가지다. 지역의 수입차 판매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의 경우 지난 1분기 동안 월 평균 50대 정도가 팔렸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5% 늘어난 수준. 아우디의 경우 1분기에 80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전체 판매대수가 245대인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1%가량 판매가 늘어난 셈이다. 특히 주력모델인 A6가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차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국적으로 지난 1분기 메르세데스-벤츠는 3천947대를 판매해 지난해 같은 기간 1천536대에 비해 무려 157% 급상승하며 수입차 시장 판매 1위에 올랐다. BMW도 1~3월 판매대수는 2천888대로 지난해(1천878대)보다 1천대 이상 늘어났다. 아우디 역시 주력인 A6 판매가 15.7% 증가하는 등 1천886대를 팔아 27.8%가 신장했다.
이처럼 독일 고급차들의 판매가 늘어나는 이유는 주소비층이 경기 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전문직과 고소득 자영업자이기 때문이다. 3천만~4천만원대의 수입차를 찾는 수요층에 비해 자금 여력이 크다는 것. 또 일본차가 잦은 대규모 리콜로 인해 인식이 나빠지면서 독일 고급차로 유입되는 수요가 적지 않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판매 상승이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이미 '살 사람은 다 샀다'라는 게 업계의 인식이라는 것.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독일차 판매는 늘어나겠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수요층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업체 간 제로섬 게임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