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진우의 분석~ 아파트] (30)대구 동구 효목동

자연환경·교통 접근성 우수…동대구역세권에 기대감

대구시 동구 효목동은 동구의 전통적 주거 밀집지역이고 교통 접근성이 좋고 자연환경이 우수한 편이다. 동대구역과 고속버스터미널, 동부정류장이 인접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주변에 금호강, 동촌유원지, 망우공원 등이 있어 자연환경도 우수한 곳으로 평가된다. 지역에 초등학교도 가까이 있어 초등학교 교육까지는 상대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수성구 범어동'만촌동과 인접해 있어 이 지역의 인프라도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매매가격 상승률 4.01%

효목동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들어 4.01% 상승했다. 이는 대구 평균(3.18%)과 동구 평균(2.57%)보다 높다. 전세가격의 경우 올 들어 0.62% 오르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상승률은 대구 평균(5.58%)과 동구 평균(4.30%)보다 훨씬 낮은 것이다. 효목동의 경우 지난 겨울방학과 봄 이사시즌 동안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단지들이 높은 상승세를 보이면서 전체적인 상승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동구 효목동의 3.3㎡당 매매가격은 445만원이다. 대구 평균(547만원)과 동구 평균(476만원)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3.3㎡당 전세가격은 329만원으로 동구 평균(317만원)보다는 높게 나타났지만, 대구 평균(366만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효목동의 3.3㎡당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노후 아파트와 중소형 아파트의 비중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72.24%로 조사됐다. 대구 평균(66.95%)과 동구 평균(66.55%)보다 높은 편이다. 효목동의 경우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전용면적 85㎡ 이하는 74% 안팎을 기록하며 지역 평균보다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매매가격의 상승은 높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의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높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은 분명 매매가격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향후 전세시장의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동구 효목동은 철로에 의한 단절성과 노후 지역의 개발과 같은 극복해야 할 과제도 있지만 분명 현재보다는 미래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먼저 자연환경이나 교통 접근성이 좋아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동대구역세권 개발이 끝나면 지금보다 상황이 더 좋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114 대구경북지사장

##효목동 태왕메트로시티

전세가 비율 높아 매매가격 지지 가능성 커

효목동 태왕메트로시티는 2003년 11월 입주한 단지로 84.38㎡형 802가구, 106.81㎡형 854가구, 161.21㎡형 203가구 등 총 1천859가구의 대형단지이다.

태왕메트로시티의 경우 2007년 봄 이사시즌에 정점을 찍고 소폭 하락 조정을 받다가 지난해 가을 이사시즌 이후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조금씩 가격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06.81㎡형의 경우 시세기준으로 매매 상한가는 1억7천만원이고 하한가는 1억5천만원이다. 전세의 경우 시세 기준으로 상한가 1억2천만원, 하한가 1억1천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 단지는 지난해 상반기 이후 급매물이 어느 정도 소진되면서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봄 이사시즌 후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강세가 나타나고 있다. 이 단지의 경우 중소형은 물론 대형 아파트까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84.38㎡형이 76%, 106.81㎡형은 72%, 161.21㎡형은 71%를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전체 평형에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지지해 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즉 안정적인 가격 구조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다.

태왕메트로시티의 경우 효목동에서는 비교적 새 아파트로 분류되고 있지만, 현재는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동대구역세권 개발 등의 이슈가 있어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매매가격 대비 높은 전세가 비율은 통상적으로 가격이 저평가됐거나 임차 조건이 좋은 경우에 발생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