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산 누출사고로 인해 구미는 보름간 공황상태를 겪고 있다. 이번 사고로 10일 현재까지 5명이 사망하고, 7천162명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농작물 피해는 237.9㏊(376 농가), 가축 피해는 3천209마리, 차량 피해는 1천135대, 기타 피해는 215건으로 집계됐다. 기업체는 조업중단 등으로 177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사고 발생 당시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 국립환경과학원 등이 초동대처를 제대로 했다면, 2차 피해 확산은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
국립환경과학원 직원들은 사고 당일 자정쯤 구미에 도착해 28일 새벽에 사고지점과 인근 산동면 봉산리 마을에서 불산 농도 측정을 했다. 사고지점은 이미 소방관들이 불산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물을 뿌려 간이측정장비로는 불산 검출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날 구미로 내려온 7명의 국립환경과학원 직원 가운데 불산 관련 전문연구원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책임자로 왔던 직원도 폐기물 및 환경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제대로 측정되지 않은 불산 농도를 국립환경과학원 측은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 구미시 등에 통보했다.
이를 토대로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달 28일 오전 3시 30분 상황종료를 알리는 공문을 구미시에 보내 사태를 조기에 마무리하려고 했다.
불산 누출사고 2차 피해가 점점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대처도 아쉬웠다. 환경부 유영숙 장관은 사고 발생 10일째인 이달 6일 불산 누출사고 직격탄을 맞은 산동면 봉산리를 찾았다. 유 장관은 주민들과 만나면서 자신의 명함을 돌리기 바빴으며, 주민들의 피해상황에는 귀를 닫은 채 KTX 시간 때문에 급히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민들의 불만을 샀다. 늦게 온 이유에 대해서 유 장관은 "죄송하다"는 말만 앵무새처럼 되풀이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 책임자로서의 진정한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번 불산 누출 사고 파문이 얼마나 장기화할 지 모른다. 국민은 정부를 믿고 살아간다. 누군가는 이 사태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