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노무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이 연일 대선정국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여권은 NLL 대화록 공개를 통해 당시 노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를 압박하는 한편 보수층 대단결로 잇는다는 방침이다. 이에 야권은 '새누리당의 주장은 새빨간 거짓말로 북풍을 통해 대선을 유리한 국면으로 몰고 가려는 수작'이라며 맞서고 있다.
24일 여야는 국회 정보위원회를 열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노 대통령의 NLL 관련 발언 확인을 위해 정상회담 대화록 열람 여부를 논의했으나 불발됐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에 열람 합의를 요구했으나 민주당의 반대로 회의 시작 45분 만에 중단된 것이다.
이날 회의는 김만복 전 국정원장을 정보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하는 것이 사전에 합의된 주요 안건이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의 NLL 부정 발언을 처음으로 제기한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이 "당시 정상회담 대화록 열람을 전제한다면 김 전 원장의 증인 채택에 동의하겠다"고 말하면서 회의 분위기는 경색됐다.
야당 의원들은 여야 간사 간의 사전 합의사항과 다르다며 강력 항의했고, 급기야 회의는 중단됐다. 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국가 안위와 관련된 중요 기록물을 새누리당이 제기한 정쟁을 위해 열람하자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며 비판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대선 때까지 NLL 포기 발언 의혹은 반드시 밝혀야 한다며 야당을 압박하고 있다. 당 한 핵심당직자는 25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의 말대로 노 전 대통령이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면 왜 대화록 공개를 기피하느냐"며 "국익과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라도 매번 '대화록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지 말고 진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민주당이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김대중 대통령 당시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은 2급 비밀로 분류되어 있는데 반해, 노무현 대통령의 대화록은 1급 비밀과 대통령지정기록물로 분류해 사실상 열람이 불가능하게 해놨다"며 "도대체 무엇이 두려워 이렇게 꼭꼭 숨겨 놓았는지 국민들은 의아해하고 있다"고 압박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