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는 조선을 침탈한 후 1926년 10월 1일 대한제국의 영구적 식민통치를 위해, 그것도 조선의 정궁 경복궁 경내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짓고 낙성식을 거행했다. 한때 홍범도 장군 휘하에 독립운동을 했던 영화감독 나운규는 이날에 맞춰 종로3가의 단성사에서 영화 '아리랑'을 무대에 올렸다.
나운규는 이미 일제 총독부의 검열을 통과하기 위해 자신의 이름을 빼고 '쓰리모'의 한국식 이름인 김창근 작품으로 제출했다. 일본인 영화회사가 제작했고, 일본인의 각본, 일본인의 이름으로 신청했다. 하지만, 사람들은 전단을 통해 상영될 영화가 어떠한 내용인지 대충 가늠할 수 있었다. "문전옥답은 어디 가고 동냥의 쪽박은 웬 말인가"라는 글귀 때문에 일제 순사들에게 전단 1만 장을 몰수당하며 감시의 대상이 됐다.
감독은 영화 '아리랑'에서 영진이라는 주인공을 통해 빼앗긴 조국에 대한 민족의 울분을 분출하는 통로를 마련했다. '고양이와 개'라는 자막에서 영화가 시작되어 영진과 오가가 서로 쫓고 쫓기는 장면으로 등장한다. 독립운동의 죄명으로 고문을 당해 정신 이상자로 등장하는 영진과, 일본의 앞잡이 오기호 간의 갈등이 영화의 주제였다.
비록 영화이긴 하지만 주인공 영진은 일본 순경의 뺨을 치고 때려눕히는 쾌사를 감행할 수 있었고, 일제의 앞잡이 오기호에게 낫을 휘두를 수 있었다.
영진은 누이를 겁탈하려는 오기호의 등에 비수를 꽂는 순간 다시 정상적인 정신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이미 살인자가 된 영진은 일본 순사에게 압송되어 고개를 넘어간다. 영진은 뒤 따라오는 친구와 동네 사람들에게 영화에서처럼 아리랑 노래를 불러달라고 한다. 애절하게 부르는 '아리랑' 가락에 눈시울을 붉히지 않을 수 없었다. 이렇게 민족의 가슴에 불을 지핀 노래 '아리랑'은 삽시간에 전국 방방곡곡으로 퍼져 나갔다.
'우의법'(寓意法)의 승리였던 영화 아리랑의 배경에는 쓰라린 민족의 노래 아리랑이 있었다. 끝내 이 땅을 떠나야 했던 망명객에게는 울분의 노래요 고향 산천의 노래였고, 국내에 남은 자들에게는 참담한 현실에 대한 비탄의 노래였다. 영화 아리랑은 이렇게 우리 민족의 가슴에 회자했고 각인됐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유대안<작곡가·음악학 박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