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되면 피로감, 짜증, 집중력장애, 식욕부진 등의 증상은 물론 각종 감염성 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낮의 가마솥더위와 열대야, 그리고 고온다습한 환경이 신체의 리듬을 깨뜨리고 면역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여름철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소개한다.
◆숙면의 적, 열대야
잠 못 이루는 밤이 찾아왔다. 잦은 열대야 현상(최저기온이 25℃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무더운 밤) 때문이다. 온도는 수면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온을 떨어뜨리는 방법을 찾으면 열대야로 인한 불면증을 극복할 수 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샤워를 하면 체온이 떨어져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오후나 초저녁에 땀을 조금 흘릴 정도로 운동을 하면 숙면을 취하는 데 효과적이다. 운동을 하면 체온과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는 데 운동을 마치면 신체 현상이 다시 제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체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탄수화물이 포함된 적당한 음식은 숙면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술은 숙면을 방해한다. 물론 술을 먹으면 금방 잠에 드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수면 유지가 되지 않고 자주 깨게 된다.
◆냉방병
장시간 냉방환경에 노출되면 냉방병에 걸리기 쉽다. 몸이 으슬으슬하고 쑤시는 근육통, 앞머리가 무겁고 띵한 느낌의 두통, 어지럼증, 피로감, 짜증이 잦고 일에 집중이 안 되는 증상 등이 있다면 냉방병을 의심해야 한다.
냉방병 예방을 위해서는 실내와 바깥의 기온 차이를 5도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실내로 들어왔을 때 소름이 끼치거나 땀이 마르면서 재채기를 할 정도라면 온도 변화가 급격한 것이다. 빌딩 공조시스템을 쓰는 건물에서는 실내온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는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을 가까이서 직접 몸에 쐬지 않도록 하고 얇은 겉옷을 준비해 몸이 안 좋을 때 입도록 한다.
더위에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린 사람은 차고 건조한 공기에 노출되면 증발 열로 몸이 차가워지므로 땀에 젖은 옷은 즉시 갈아입도록 한다. 실내습도의 저하로 냉방병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각종 눈병
여름철에 잘 걸리는 눈 질환은 유행성 각결막염이다. 이 질환의 원인은 아데노 바이러스다. 바이러스 감염 후 보통 3~5일의 잠복기를 지난 뒤 양쪽 눈이 충혈되고 동통과 눈물이 심하게 난다. 증상이 나타난 후 7~10일 정도가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이다. 2주가량은 전염성이 있으며 3, 4주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수건 등을 따로 써야 한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손으로 전파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비누를 사용해 손을 꼼꼼히 씻고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흔히 아폴로눈병이라고 불리는 급성출혈성 결막염도 조심해야 한다. 이 질환의 주범은 엔테로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8~48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생한다. 결막 아래 출혈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유행성각 결막염과 다르다. 대표적인 증상은 눈물 흘림, 가려움이 동반된 눈의 통증, 이물감 등이다. 눈꺼풀의 부종이나 결막 아래 출혈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수영장, 해수욕장 등은 세균성 전염병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물놀이를 할 때 전염성 눈 질환을 예방하려면 손으로 눈을 만지지 말고 손을 자주 씻어야 한다. 또 시력이 나쁜 사람들은 물놀이를 하면서 콘택트렌즈를 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눈 질환에 감염될 위험성을 높인다.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콘택트렌즈를 매개로 옮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열손상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열과 관련된 건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일을 하거나 운동을 할 때, 또는 환풍이 잘 되지 않는 곳에 오랜 시간 머물러 있을 때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땀으로 소실된다. 가벼운 경우에는 열경련이 생겨 다리 통증이나 복통이 나타날 수 있다. 대개 시원한 그늘에서 음료수나 약간의 소금물을 마시고 쉬면 회복될 수 있다. 열사병은 열손상 중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아주 위험한 경우다. 흔히 노인이나 만성질환으로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체내에서 열발산을 제대로 하지 못해 걸리게 된다. 흔히 열이 40도를 상회한다. 열사병은 우리의 뇌 및 전신기관에 심각한 손상을 주고 사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응급질환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문형배, 尹 파면 후 "대통령·국회 갈등 해결 방도 없어"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26명 목숨 앗아간 경북 산불 피의자 2명 구속영장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