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싸고 주행거리 짧은 '전기차', 아직은…

충전시설 부족, 보급률 저조…정부 보조금 지원 3천대 제한

국내 전기차 시장이 가격과 성능 등의 문제 때문에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물고 있다. 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28회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BMW의 전기차인 i3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전기차 시장이 가격과 성능 등의 문제 때문에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물고 있다. 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28회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BMW의 전기차인 i3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전기차 시장이 아직 초보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모두 3천여 대다. 전 세계 보급 대수 66만5천여 대의 0.45% 수준으로, 전 세계 전기차 점유율 상위 3개국인 미국(39%), 일본(16%), 중국(12%) 등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일반 차량의 약 2배에 이르는 가격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대당 1천500만원, 지방자치단체들도 대당 500만~8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연간 지원 대수가 한정돼 있어 전기차 보급 확대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올해 보조금 지원 계획이 3천 대에 묶여 대부분 수요자들은 구매를 포기하거나 구매 시기를 미룰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지자체 보조금 2천여만원을 지원받으면 전기차 구매가 가능하지만,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2천여만원 이상을 개인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선뜻 나서기 힘든 상황이다.

올해는 특히 2030년까지 도내에서 운행되는 차량 전체를 전기차로 바꾼다는 계획을 추진 중인 제주도가 올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 물량 3천 대의 절반인 1천500대를 확보해 다른 지역에서 전기차 지원을 받으려면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할 전망이다.

아울러 일반 승용차보다 짧은 주행거리와 충전시설 부족도 문제다. 현재 운행 중인 전기차의 평균 주행거리는 120~130㎞ 정도이며, 전국 충전시설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하다.

홍준헌 기자 newsfor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