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지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은 데서 소요(逍遙)는 보행(步行)과 다르다. 하여 장자는 마음 가는 대로 유유자적하며 노닐 듯 살아가는 태도를 일컬어 '소요유'(逍遙遊)라 하지 않았던가. 5월의 신부 같은 햇살이 스며드는 무학산(舞鶴山)은 집과 근거리에 위치한 것도 있지만, 채우(彩雨, 김상환 시인의 호) 형과 함께 하는 터여서 즐겨 찾곤 한다. 무학은 이제 우리에게 하나의 장소가 되어 있다. 에드워드 렐프에 의하면, '인간답다'는 것은 '의미 있는 장소로 가득한 세상에서 산다'는 것을 말한다. 무학산은 그런 장소감을 부여하는 곳이기도 하다. 오늘도 나는 형과 함께 아카시아 향기가 꽃처럼 피어나는 산의 둘레 길을 오르내린다. 빛과 소리, 색과 향이 차고 넘치는 산, 가까이서 또 멀리서 들리는 뻐꾸기 소리에 형은 곧장 워즈워스의 시 '뻐꾸기에 부쳐'(To The Cuckoo)를 이야기한다. 그리고는 '뻐꾸기 소리'가 곧 '뻐꾸기'라 말한다. 사물의 실재란 존재의 소리에 대한 응감에서 발현되는 법이다. 더러 생각이 막히거나, 또 다른 에너지를 얻고자 할 때면 나는 으레 이 길을 찾는다.
어느 날 산길에서 형은 "시경을 읽지 않으면 빼어난 말을 할 수 없다"(不學詩無以言. 論語, 季氏篇)고 하여 시와 언어, 말과 사물의 관계를 강조했다. 나는 "마음속에 응어리진 분(憤)이 있으나 이를 펴지 않고서는 견딜 길이 없다"고 한 굴원의 '초사'(楚辭)를 이야기했다. 발분서정(發憤抒情)의 남상(濫觴)인 '초사', 그리고 '시경'은 동아시아 시학의 양대 축이 아니던가! 소요의 산길은 언제나 서로의 생각을 좋게 받아주고 이어주고 간직한 채로 있다. 우리들의 시담 소재는 시는 물론, 색공과 유무에 관한 존재론과 프랙탈 구조, 카오스 이론 등 따로 정해진 게 없다. 특히 형은 자연의 비의와 묘오를 몸소 체득한 유협의 '풍격론'(風格論)과 창작 방법으로서의 '통변'(通變)과 함께, 마음의 체(體)와 용(用)에 대해 곧잘 이야기한다. 나는 좋은 시에 대해 "조용히 생각을 모으면 천 년의 세월도 접할 수 있고, 천천히 얼굴을 움직이면 만 리를 내다볼 수 있는 상상력이야말로 명시의 필수조건"이라고 화답한다.
지난겨울이었다. 날씨가 따뜻하여 한껏 기분이 들뜬 우리는 은사시나무에 비스듬히 기대 커피를 마셨다. 그때 나무통을 타고 '딱, 딱, 딱따구르르르' 참으로 맑고 고운 새의 소리가 나무의 내부에서 온몸으로 전해졌다. 위를 올려다보니 오색딱따구리 한 놈이 새끼를 위해 둥지 구멍을 파고 있는 게 아닌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우리는 은사시나무에 귀를 갖다 대었다. 이렇듯 나는 절기마다 채우 형과 함께 학이 춤추는 무학의 산길을 즐겨 걷는다. 누구나 산에 들어서면 허정한 마음이 되는 법. 나무를 높여 '격'(格)이라 한다면, 무학의 숲은 적어도 격물 혹은 관물하기에 딱 좋은 장소다. 그런 무학산은 내게 소요산의 다른 이름이다.
김동원 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