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모(32) 씨는 지난 2일 퇴근길에서 황당한 일을 겪었다. 친구와 함께 두류네거리를 지나 감삼네거리로 걸어가던 중 지하철 환풍구에 설치된 고무바를 발견하지 못해 걸려 넘어질 뻔 한 때문이다. 장 씨는 "환풍구 위로 걷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 같은데 이런 허술한 시설이 과연 효과가 있느냐"며 "오히려 나처럼 걸려서 넘어지거나 다칠 수 있을 것"이라고 화를 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설치된 대구도시철도 환풍구 안전시설물이 도시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의 우려도 낳고 있다.
대구도시철도공사(이하 도시철도)에 따르면 큰 도로를 따라 설치된 대구도시철도의 환풍구는 모두 434개(1호선 212개'2호선 222개)로 이 가운데 지면에서 1m 이상 솟아있는 탑형이 362개(1호선 174개'2호선 188개)이고, 나머지 72개(1호선 38개'2호선 34개)가 20㎝ 높이 안팎의 지면형이다.
도시철도는 지난해 16명의 사망자를 낸 판교 주차장 환풍구 추락사고 후 도시철도 환풍구 위를 시민이 지나지 않도록 환풍구 주변에 주의 문구를 달았다. 하지만 손바닥만한 크기의 문구는 거의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또 일부 지면형 환풍구에 도시철도가 설치한 안전시설이 되레 시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감삼역~반고개역 구간 환풍구에는 '들어가지 마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높이 50㎝ 정도의 아크릴 가림막이 설치돼 있지만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수준의 높이였다. 김모(42) 씨는 "어른 무릎 높이밖에 안 되는 이 가림막이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며 "완전히 가리거나 높게 만들어야 안전사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인도에 접한 환풍구 가운데에는 테두리 절반을 10㎝ 높이의 고무바로 설치한 곳도 있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질 우려가 크다. 지면형이 아닌 탑형 환풍구 역시 그대로 노출된 곳은 각종 물건이 놓여 있어 미관을 해치고 있다.
도시철도공사는 "지면형 환풍구는 1㎡당 500㎏을 견딜 수 있게 설치돼 있기 때문에 보행자가 걷더라도 위험하지 않다"며 "다만 일부 안전시설들은 차량이 올라오는 것을 막거나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 사진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