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9월 19일 지청천이 이끄는 한국독립군과 중국 지린성 자위군은 만주국 초비단 부대 3천 명과 소수의 일본군이 지키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 쌍성보 인근에 집결했다. 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키자, 한'중 간 연합전선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지린성 자위군은 지린성을 중심으로 '반만(反滿) 항일(抗日)'에 뛰어든 중국인 부대였고, 당시 한국독립군의 규모도 6개 대대 1천600여 명에 달했다. 한국독립군은 이미 1932년 1~2월 사복성 부대와 연합해 서란현 전투를 치른 바 있어 중국군과 호흡이 잘 맞았다.
2시간에 걸친 총공세로 만주군은 1천 명이 죽거나 부상했고, 2천 명이 투항했다. 독립군과 중국군의 사상자는 각각 30~40명에 불과한 대승이었다. 이후 장춘과 하얼빈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 쌍성보를 두고 뺏고 뺏기는 혼전이 거듭되었고, 결국 항공기를 동원한 일본군에 넘어갔다. 중과부적이었지만, 쌍성보전투는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의 기념비적 승리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