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독도를 고유 영토로 규정하는 행위는 오늘날 우리를 있게 한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다."
경상북도는 29일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해양 영토'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열었다.
이번 학술회의는 국내외 석학을 비롯해 관련 전문가 30여 명이 해마다 반복되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불식하고자 지식과 자료, 정보 등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제1섹션에서는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 den) 교수가 '소란스러운 동아시아의 바다'라는 주제발표를 했다. 이어 정재정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와 최철영 대구대 법학부 교수가 토론에 참가했다.
더든 교수는 "일본 정부는 2014년 4월 독도'조어도'쿠릴 4개섬을 자국의 고유 영토임을 주장하는 외교 및 국방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이 영토를 일본제국으로 편입했던 과거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다"고 지적하고 "일본 정부는 과거에 대한 정직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를 유연하게 바라봐야 하며 이 섬에 대한 고유 영토를 고집하지 말고 미래 동아시아 국제 질서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2섹션에서는 류연택 충북대 지리교육과 교수가 '국제수로기구(IHO)와 동해'일본해 이슈', 이정태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과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 홍성근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장이 '전후 연합국의 일본 영토 처리 방침과 독도'를 주제로 발표를 했다.
제3섹션에서는 이기석 회장의 사회로 김영수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차재복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을 비롯한 참석자 전원이 독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역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좌표에 대해 열띤 종합토론이 펼쳐졌다.
권영길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일본이 지속적으로 우리 고유 영토인 독도를 도발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학자들뿐만 아니라 제3국 석학과 함께 독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현실을 객관적으로 짚어보고 미래에 대해 논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경북도는 이와 같은 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열어 우리의 논리를 개발하고 제3국과 함께 독도 문제의 해결 방향을 적극 모색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