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상 속 자주 발생하는 '발목염좌'

"찜질하면 낫겠지" 생각하다가 관절염 된다

습관적 발목 삐는 '만성 염좌' 진행

계속 방치 땐 '관절경사'현상 발생

더 악화되면 연골 전체가 망가져

유합술·인공관절 등 큰 수술 받아야

발목은 일상생활 속에서 다치기 쉬운 신체 부위다. 계단을 빨리 내려가거나 발을 잘못 내디뎌 접지르기도 하고, 울퉁불퉁한 길을 걷거나 등산을 하던 중에 삐끗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겨울에는 스키나 스노보드, 산행 등 겨울 레포츠를 즐기거나 미끄러운 빙판길을 걷다가 발목을 삐기 쉽다. 발목염좌는 며칠 쉬거나 찜질을 하면 자연스럽게 낫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습관적으로 발목을 삐는데도 내버려둘 경우 관절 손상이 반복되면서 발목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처음 다쳤을 때 깁스 고정·물리치료 받아야

발목염좌는 발목을 지탱하는 인대가 외부의 힘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말한다. 발목이 꼬이거나 접질리면서 정상적인 발목 관절의 운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다. 발목염좌는 대부분 발바닥이 안쪽으로 뒤틀리는 경우에 발생한다. 발목이 뒤틀리면 발목에서 '두두둑'거리는 소리가 나고, 심하게 붓거나 멍이 들기도 한다. 서 있기 힘들 정도로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발목염좌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러나 발목염좌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발목 인대가 느슨한 상태로 아물거나 발목 관절이 불안정해져 습관적으로 발목을 삐는 만성 염좌로 발전하게 된다. 계속 방치하면 발목 내'외측 인대의 균형이 깨지면서 관절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관절경사' 현상이 나타난다. 관절경사로 진행되면 관절면에 체중이 불균등하게 눌리면서 관절 연골 전체가 망가지는 관절염을 유발하게 된다.

만성 인대 손상이나 관절 불안정성을 막으려면 발목을 다쳤을 때 적절하게 부목으로 고정하고 목발을 이용하는 등 손상받은 부위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처음 다쳤을 때 깁스로 고정하거나 적절한 물리치료를 받으면서 3개월간 같은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면 대부분 원래대로 회복된다. 그러나 다친 후 첫 3개월 동안 동일한 형태의 손상을 또 입게 되면 만성 인대 파열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발목 연골 손상이나 관절염은 수술 필요

발목관절의 연골을 다쳤거나 관절염이 생겼다면 수술을 하지 않고선 완전히 낫기 어렵다. 연골을 심하게 다치지 않은 경우에는 발목 관절경을 이용한 '골수자극술'을 받고 한 달 정도 지내면 회복된다. 그러나 발목관절의 연골이 상당 부분 파괴돼 관절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관절 절골술이나 유합술, 인공관절 등 큰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발목 인대에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적절한 기간 동안 깁스로 고정하고 물리치료를 받는다. 이미 만성 파열로 진행됐다면 발목 외측 인대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비골건의 근력을 강화해 관절이 안정되도록 해야 한다.

그래도 회복이 잘 되지 않는다면 발목 인대 봉합 수술을 하게 된다. 발목 인대 봉합 수술은 남아 있는 인대를 갈무리해 원형에 가깝도록 봉합하고, 주변 근육인 신전건지대를 이용해 인대를 보강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 수술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다른 부위의 힘줄이나 사체의 힘줄을 사용해 인대를 비슷한 형태로 재건하는 방식이 활용된다.

최준영 W(더블유)병원 족부족관절센터 과장은 "남들보다 자주, 가벼운 일상활동 도중에도 습관적으로 발목을 접지른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면서 "발목 관절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조기에 적절하게 치료해야 더 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움말 최준영 W병원 족부족관절센터 과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