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이 50여 일 앞으로 다가왔으나 정당과 주요 후보자들은 공약을 제대로 준비하지 않거나 내놓더라도 검증되지 않은 인기영합적인 공약만 제시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대선 주자들은 짧아진 대선 기간을 빌미로 지역 공약에 대해 제대로 된 검토 작업을 하지 않고 있어 차기 정권이 탄생하더라도 대구경북지역 현안 해결이 불투명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주자들의 경우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포퓰리즘적 공약을 쏟아내고 있어 논란을 빚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는 병역 단축 및 일자리 81만 개 창출을 공약으로 내걸어 비난을 샀지만, 최근에는 22조6천억원의 국민 채무를 면제해 주겠다고 주장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연'월차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사회구조 속에서 10년 근무 후 무려 1년을 유급휴가로 전용하는 공약을 내걸었고, 이재명 성남시장은 국민 1인당 연 130만원의 소득을 정부가 보장하는 법 개정을 주장했다.
이와 달리 보수'중도 진영 후보들은 제대로 된 공약조차 없어 정권 창출에 대한 욕심만 앞세우고 지역 및 국가 정책에는 소홀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사고 있다.
여권의 유력 주자인 홍준표 경남지사는 '우파 결집'만 외칠 뿐 공약이라고 발표한 것은 전무한 상태이고, 김진태 국회의원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살리겠다"는 주장이 전부다.
그나마 김관용 경상북도지사가 준비 중인 분권과 경제 정책, 북핵 해법, 유승민 바른정당 국회의원이 제시한 일자리'청년 문제 등이 보수층에서 지금까지 선보인 공약의 대부분으로 꼽히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현안은 정당과 후보자들에게 채택될지 미지수일 뿐 아니라 새로운 지역 발전 정책은 아예 검토되지 않고 오히려 기존 정책이 후퇴 또는 축소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특히 지역 핵심사업인 통합 대구공항 이전과 관련해 대구경북은 큰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대구시는 지난달 자유한국당과 당정협의를 하면서 12개 지역 현안을 대선 공약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했으나 8개로 축소된 데 이어 최근에는 이를 다시 5개 내외로 축소해 달라는 요구를 받아놓은 상황이다.
경북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지역 차세대 산업을 위해 시급한 현안 7개 프로젝트를 각 정당에 요구했으나, 절반으로 줄이거나 한두 개를 포기해 달라는 요구를 받고 수정'보완 작업에 들어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 현안을 하나라도 더 넣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당 및 후보자들과 접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진행된 협의는 문구 수정이나 서식 교정 등이 전부인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