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며 '신진연구자'인 30대 이하 교수 숫자가 4년 새 60대 이상 교수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의 '전국대학 연구활동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전임교원 수는 2016년 7만4천461명으로, 2012년 7만914명보다 3천547명(5%) 증가했다.
2016년 전임교원을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교수가 1만3천803명으로 4년 전보다 5천387명(64%) 급증했다. 전체 교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1.9%에서 18.5%로 높아졌다.
50대는 2만8천536명으로 4년 새 375명(1.3%) 증가하는 데 그쳤다. 40대는 2만5천182명으로 541명(2.1%) 줄었다. 신진연구자로 분류되는 39세 이하 교수 수는 2012년에는 8천614명으로, 60대 이상보다 200명가량 많았지만 2016년에는 6천940명으로 1천674명(19.4%) 급감하며 60대 이상의 절반에 불과했다.
신진연구자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년 새 12.1%에서 한자릿수인 9.3%로 떨어졌다. 60대 이상과 30대 이하 교수 숫자가 크게 벌어진 것은 박사 학위를 딴 후 신임 교수가 되기까지 기간이 길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교수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면 전체 교수사회의 연구 경쟁력이 약화할 것이라는우려도 나오고 있다. 전체 논문 수에서 60대 이상은 0.64편으로 30대 이하의 0.82편에 못 미쳤다.
김소형 한국연구재단 연구위원은 "연구 경쟁력 약화를 막기 위해 도전적 연구에 적극적인 신진 연구원에 대한 투자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
"김현지 휴대폰 교체한 적 없어" 대통령실 대신 더불어민주당이 반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