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과 산업화 등을 거치는 동안 한국인의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크게 달라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보다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두개강 부피와 머리뼈의 높이, 너비 등 전반적인 머리 크기가 40년새 6%가량 커졌다.
고려대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유임주 교수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1930년대와 1970년대에 각각 태어난 한국인 115명의 머리를 촬영한 뒤 3차원으로 재구성해 연구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1945년 광복을 기준으로 전후 약 40년간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1930년대 출생자 58명(남 32명·여 26명)과 1970년대 출생자 57명(남 28명·여 29명)의 머리 크기를 측정했다. 이 시기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6·25전쟁과 산업화 등 역사적으로 굵직한 사건이 산재해 있어 사회·경제적 변화가 머리 크기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정에서다.
그 결과 사회경제적 안정을 찾은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머리뼈 안쪽, 즉 두개강의 부피는 1930년대 출생한 사람에 비해 평균 약 90㎖ 컸다.
남성의 경우 1930년대 출생자의 두개강 부피는 1천502㎖였으나 1970년대 출생자는 1천594㎖로 약 6%, 같은 시기 여성의 경우 1천336㎖에서 1천425㎖로 약 6.7% 커졌다.
두개골의 형태에서 남자는 머리뼈의 높이, 너비, 길이가 모두 커졌다. 여자도 머리뼈의 너비가 확대되고 높아졌다.
연구팀은 정치·경제적으로 억압받았던 일제강점기와 달리 해방 이후 산업화와 경제 성장으로 일정 수준의 영양공급이 이뤄지는 등 사회적으로 크게 변화했기 때문으로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저명한 인류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자연인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