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권영재의 대구음악 유사]영웅의 노래

전 대구적십자병원 원장

"지금도 가슴속에 파고드는 소리, 전태일 동지의 외치던 소리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헛되이 말라" 외치던 그 자리에 젊은 피가 흐른다. 내 곁에 있어야할 그 사람 어디에 다시는 없어야할 쓰라린 비극"-전태일 추모가.(작사 작곡자 미상)

전태일은 1948년 8월 26일 대구 중구 남산동 재봉사 전상수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안 그래도 가난한 집이 사기를 당하는 바람에 살길을 찾아 1954년 일가는 서울로 이사를 간다. 전태일은 남대문 국민학교에 입학을 하였다. 가난은 여전하여 생활비를 벌기 위해 국민학교와 고등공민학교를 자퇴하고 거리에서 삼발이를 만들어 파는 행상도 하며 유년기를 보낸다. 1963년 다시 대구와 살다가 1964년 다시 상경한다. 1965년에 재봉기술로 청계천 평화시장 피복 점 '시다'로 취업했다.

당시는 그 동네 모두가 14시간 노동에 일당을 50원(차 한잔 값)을 받았다. 1968년에 근로기준법을 알게 되고 그 후 계속 해설서를 구입하여 공부를 계속한다. 1969년 6월 평화시장 최초의 노동운동 조직인 '바보 회'를 만들어 현재 근로조건이 근로기준법과 전혀 맞지 않음을 계몽한다. 그러나 그의 노동운동은 실패하고 1969년 9월부터 1970년 4월까지 건축노동자로 일하다가 1970년 9월에 평화시장으로 다시 돌아온다. 직급이 조금 높아져 재봉사 위인 재단사로 일을 하게 된다. 바보 회를 '삼동친목회'로 확대발전 시킨다. 삼동 회에서 126장의 설문지에 90명의 서명을 받아 노동청에 제출하자 이런 내용이 경향신문에 크게 기사화된다.

이 사건이 노동계에 알려지자 삼동 회 회원들은 차제에 쥐꼬리 임금, 고무줄 노동시간, 노동자 인권부재 등을 노동조합 결성을 통한 개선의 투쟁이 시작하게 되었다.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과 삼동 회 회원들은 근로기준법이 아예 노동자의 인권과 이익을 보호할 의지가 없는 법이라는 뜻에서 '근로기준법 화형식'을 벌였다. 경찰이 플래카드를 빼앗자 전태일은 손에 들고 있던 회 불을 자신의 몸에 댕겨 붙였다.

"백두산의 푸른 정기 이 땅을 수호하고, 한라산의 높은 기상 이 겨레 지켜왔네, 무궁화 꽃 피고 져도 유구한 우리역사, 굳세게 살아왔네. 슬기로운 우리겨레."-나의 조국, 박정희 작사, 작곡

박정희의 선조들 고향은 성주다. 선비였던 그의 부친 박성빈은 가난해 처가 곳인 구미읍 상모리로 이사를 하고 박정희는 그 곳에서 출생한다. 어린 박정희가 큰 형인 상희의 손을 잡고 당시만 해도 큰 도시였던 김천 평화시장에 장보러 왔다. 모처럼 큰 장에 온 김에 형이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사주었는데 알맹이를 다 먹은 정희가 그 껍질을 먹는 건지 버리는 건지 몰라 한 참 들고 다녀 시장 상인들이 촌것들 왔다고 한참 웃었다고 한다.

박정희 가족들은 적극적인 삶을 산 사람들이다. 조부는 동학접주를 하다 죽을 고비를 넘겼고 형 상희는 '대구 10.1사건'을 주동했다가 구미경찰에게 사살 당한다. 형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자가 된 박정희 자신도 여순반란 사건에 연루되어 총살 직전 특별사면 된다. 전태일은 독학해 당시만 해도 낯선 노동운동을 스스로 시작한 선구자다. 그의 몸은 한 줌의 재가 되어 노동운동의 머릿돌이 된다. 박정희는 초근목피로 목숨을 이어가던 최빈국(最貧國)을 부자 반열에 올리고 자신은 한 발의 총탄에 이슬처럼 살아져갔다. 멋있는 대구경북 사나이들의 죽음이다.

전 대구적십자병원 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