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만성화된 역류성식도염, 재발을 막는 치료방법 중요

김지은 원장
김지은 원장

병이 치료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재발 되고 있다면 만성화되었다고 봐야 한다. 만성화된 병은 초기보다 치료가 쉽지 않다. 이때는 환자는 '어떤 치료방법을 선택해야 할까?'라고 고민하곤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치료를 찾아야 한다.

역류성식도염은 만성화되기 쉬운 질환 중 하나다. 이는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에 따라 가슴 쓰림, 목이물감, 기침,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을 나타낸다.

대다수의 환자는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가라앉히기 위한 방법으로 위산의 과다를 막아주는 제산제를 복용한다. 제산제를 복용해 역류되는 위 내용물의 양을 줄여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없애기 위해서다. 하지만 제산제는 약의 복용을 멈추면 증상이 다시 나타나 환자를 괴롭힌다.

위편장쾌 네트워크 한의원 영등포점 김지은 원장은 "위장과 식도의 경계 부위 즉, 하부식도괄약근이 약화되어 완전히 닫혀 있지 않게 된다면 위장의 내용물이나 위산의 식도로 역류한다. 이러한 역류가 지속되면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고 그로인해 역류성식도염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부식도괄약근의 약화는 위산의 과다분비와 상관이 없기 때문에 제산제를 복용한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이때 하부식도괄약근에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위장의 기능문제를 진단해야 한다. 위장의 기능문제는 위장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하부식도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조언했다.

위장의 기능문제는 위장공능검사와 같은 기능검사를 통해 진단한다는 설명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상태를 비교해 위장문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

특히 음식물이 아래 소장 쪽으로 원활하게 배출이 되는지, 위장의 움직이는 힘과 자율신경(부교감=미주신경, 교감신경)의 기능이 양호한지, 위나 장의 연동운동(수축 팽창)이 정상적으로 잘 이루어지는지 등의 문제를 진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진단이 끝났다면 모자라거나 과한 기능을 정상화하는 치료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때 한의학에서는 한약처방으로 통해 이를 바로잡는데 주력한다. 관련 역류성식도염 치료 한약은 울체된 기운을 풀어주는 효과로 자율신경을 안정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단 환자의 진단 결과에 따라 약재를 가감해 정확히 처방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한의학에서는 침구치료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만성화된 역류성식도염의 재발을 막기 위해 힘쓴다.

김 원장은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있어 재발을 막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식습관, 생활습관 등의 관리도 필요하다. 단순히 식습관은 물론 표준체중 유지, 자세교정 등 다양한 관리도 증상 재발을 막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와 함께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역류성식도염에서 벗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