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정부, 이란 석유시설 타격·사이버공격 등 보복방안 검토중"

외교적 해법도 모색, 미 의회는 군사 개입 우려 강해...고심과 혼선이 뒤얽힌 양상

미국이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공격 주체로 지목한 이란에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편으로 외교적 해법도 모색하고 있으며 의회는 군사 개입을 우려하는 등 고심과 혼선이 뒤얽힌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미 NBC뉴스는 18일(현지시간)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 지난 16일 열린 국가안보회의에서 군 지도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란에 대해 취할 수 있는 행동 '메뉴'를 제시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 광범위한 군사 충돌로 몰아넣지 않을, 좀 더 초점을 좁힌 대응 방안을 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검토하는 군사적 대응 카드로는 사우디가 당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란 석유시설 또는 이란 혁명수비대 소유 자산을 겨냥한 물리적 공습이나 사이버 공격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당사국인 사우디가 공격하면 미국이 격추 대상이나 감시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이를 측면 지원하는 안도 거론된다.

미 군사 계획 설계자들은 공격 대상 목록에 세계 최대 규모로 손꼽히는 이란의 아바다 원유 정제시설이나 이란의 최대 원유 수출 시설인 카르그섬 공습이 포함됐으며 이란 혁명수비대 소유의 자산이나 미사일 발사 장소 공격도 선택지로 보고 있다.

한편 이란에 강력히 대응할지 아니면 외교적 노력을 통한 해결을 우선시할지를 놓고 목소리가 엇갈리며 혼선이 노출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조차 군사 대응까지 불사할 듯한 트윗을 올렸다가 이튿날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며 입장을 완화,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매파 성향 공화당 지지자들과 동맹국인 이스라엘, 사우디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정치적 명령과, 이란과의 핵 합의를 이루려는 정치적 본능 사이에서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미 의회는 공화당 일부 의원을 포함, 군사적 개입을 우려하고 있다.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인 공화당 짐 리시 의원과 밋 롬니 상원 의원, 민주당의 크리스 머피 상원 의원 등은 중동의 또다른 분쟁에 미국이 개입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김지석 선임기자·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