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 김보아(35) 씨는 최근 손 소독제를 직접 만들어 지인들에게 선물했다. 100ml에 4천~5천원 정도인 손 소독제로는 4인 가족이 일주일을 버티기 힘든 것도 있지만 구하기가 힘든 탓이었다. 김 씨는 "절반 가격으로 직접 만드는 편을 택했다. 손 소독제 만들기 세트 2개를 구입해 제품 10개를 만들어 가족과 지인들에게 나눠줬다"고 했다.
코로나19 확산세에 오프라인 매장에서 손 소독제 구하기가 어려워지자 손 소독제를 직접 만들어 쓰는 이들이 늘고 있다. 사람마다 만드는 방법이 제각각이어서 살균 효과에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손 소독제의 주원료는 알코올과 글리세린, 정제수 등이다. 혼합 비율과 원재료 차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게 관련 업계의 얘기다. 이들은 정확한 용량과 비율만 맞추면 살균 효과가 충분하다고 조언한다.
특히 알코올 비율을 70%로 맞추는 게 관건이다. 약사 배은주 씨는 "알코올의 살균·소독력은 70%일 때 가장 강하기 때문에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도 70%에 맞춰 나온다"고 했다.
그러나 개인이 만들다 보면 공장에서 만든 것처럼 최적의 환경과 정확한 비율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농도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 소독제 재료들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살균력을 잃기 때문이다. 또 알로에 젤로 글리세린을 대신하거나, 정제수가 아닌 수돗물로 만드는 것은 소독제의 살균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손대호 대구시의사회 이사는 "글리세린은 알코올이 휘발되는 것을 막고 피부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글리세린 대신 알로에 젤을 써도 무방하지만 살균 효과는 떨어질 수 있다"며 "정제수가 없을 경우 수돗물보다는 필터기를 거친 정수기 물을 활용하는 게 낫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