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후적지를 활용한 '동촌스마트시티 건설'(가칭)이 앞으로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중대한 기회가 될 거란 분석이 나왔다.
동촌스마트시티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에 따라 예상되는 신도시 개발 계획을 일컫는다. 대구공항 후적지, 금호강, 동촌유원지를 아우를 전망이다.
대구시는 10일 대구형 스마트도시 모델을 만들기 위한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은 논의했다.
스마트도시계획에는 비전과 추진전략, 시민체감형 서비스 발굴 등 2021~2025년까지 이어질 대구시만의 중장기 종합계획을 담는다.
이날 이뤄진 SWOP 분석에서 ▷광역교통의 요충지 및 우수한 교육 인프라 ▷전국 최대 자가통신망 구축(약 730km·스마트 광통신센터 운영) ▷전국 최초로 스마트시티 전담조직(스마트시티과) 신설 ▷수성알파시티 구축 등이 대구시의 강점으로 꼽혔다.
앞으로 조성될 동촌스마트시티 건설이 중대한 기회가 될 거란 분석도 이어졌다.
그러나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로 지역 경쟁력의 약화 ▷원도심의 쇠퇴와 신도시 간 격차 심화 등은 대구시의 근본적인 약점이자 위협요소로 평가된다.
이 밖에도 부서별 면담 조사를 통해 구·군별로 스마트시티 담당자를 지정하고 민방위·CCTV·경찰·소방이 한 곳에 모이는 통합관제센터를 신청사 건립 시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됐다.
대구시는 중간보고회 이후 시민과 기업,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연내에 최종 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현재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앞으로 스마트시티 대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해결해야 할 핵심과제에 대한 전략을 깊이 있게 다룰 좋은 기회였다"라며 "대구시의 스마트시티 정책이 전체적으로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타시도와 구별되는 특화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