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주민·민간기구에 안 알렸다"

한수원 측 담당직원의 업무착오…주민들 "안전과 직결된 문제 더 신중해야"

한수원은 11일 설명자료에서 2019년 4월 터빈건물 지하배수관로에서 검출된 삼중수소는 안전협의회와 민간감시기구 등 지역주민에게 알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실확인 결과 규제기관에게는 보고했지만 주민에게는 알리지 않았다. 한수원 제공
한수원은 11일 설명자료에서 2019년 4월 터빈건물 지하배수관로에서 검출된 삼중수소는 안전협의회와 민간감시기구 등 지역주민에게 알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실확인 결과 규제기관에게는 보고했지만 주민에게는 알리지 않았다. 한수원 제공

한수원이 원자력발전소 내 삼중수소 검출 등 민감한 이슈를 거짓 대응하면서 관련 논란을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다.

한수원은 지난 11일 언론 등에 설명 자료를 내고 "지난 2019년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배수로 맨홀 고인물에서 배출관리기준인 4만㏃/L를 훌쩍 뛰어넘는 71만3천㏃/L의 삼중수소가 검출됐지만 원전 건물 내 특정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나왔고, 액체방사성폐기물 처리계통으로 모두 회수돼 문제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 사실을 법적의무는 아니지만 지역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이하 민간감시기구)에 보고했다"고 했다.

때문에 한수원의 설명을 믿은 많은 주민들은 삼중수소 문제를 지역에 투명하게 밝히고 조치했는데 1년이 지나 재점화하는 것은 '월성1호기 수사 물타기' 등 다른 이유가 있고, 주민 재산권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며 논란을 경계했다.

하지만 사실확인 결과 한수원은 당시 이런 삼중수소 검출 내용을 규제기관에게는 보고했지만 주민에게는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주민들은 "정직하게 공개하면 될 것을 거짓 해명으로 왜 논란을 키우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비난했다.

한수원 측은 "담당직원이 삼중수소 논란의 단초가 된 사용후핵연료 수조의 차수막이 훼손됐다는 사실을 규제기관과 주민, 민간감시기구에 알렸다는 것을, 삼중수소 검출 문제와 시기가 비슷해 헷갈렸다"면서 "고의성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한수원은 배수로 고인물의 삼중수소 농도가 높았던 원인에 대해 자체실험을 수행한 뒤 결과를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검증 중에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