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시·군이 민간시설에 위탁한 일부 유기동물 보호센터가 사육환경 및 운영방식 등에서 열악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지자체의 직영 요구 목소리가 높다.
경북의 유기동물 발생은 ▷2016년 3천753건 ▷2017년 4천893건 ▷2018년 7천522건 ▷2019년 9천153건 ▷지난해 9천645건 등으로 매년 증가세다. 지난해 기준 포항시 1천749건, 경주시 1천210건, 경산시 1천19건 등의 순이다.
경북 시·군별로 있는 23개 보호센터 중 7곳만 지자체 직영이다. 그런데 민간이 위탁받아 운영하는 일부 보호센터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한 환경단체가 자체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A보호센터는 전직 개 농장주가 운영 중이고, 본인 사육 식용개와 함께 유기견을 관리했다. B보호센터에선 견사 앞마당에서 다른 개들이 보는 가운데 2년간 400여 마리가 안락사됐다.
경북도는 지난달 21~29일 홈페이지를 통해 유기동물 보호 정책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를 벌였다. 200여 건의 의견 중 대다수가 보호센터의 시·군 직영 요구였다. 이밖에 ▷보호센터 시설 및 사육환경 개선 ▷동물 생산·판매업 금지 법제화 ▷보호센터 반려견 입양률 확대 ▷반려동물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 확대 등이 접수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시·군과 합동점검반을 꾸려 실태점검 중이며, 문제가 드러난 보호센터는 지정 취소 등을 조치하겠다"며 "올해 추가로 6곳이 직영으로 바뀌는데, 부실한 위탁시설을 직영화하지 않으면 시·군 예산 삭감 등 불이익을 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