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시·군이 민간시설에 위탁한 일부 유기동물 보호센터가 사육환경 및 운영방식 등에서 열악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지자체의 직영 요구 목소리가 높다.
경북의 유기동물 발생은 ▷2016년 3천753건 ▷2017년 4천893건 ▷2018년 7천522건 ▷2019년 9천153건 ▷지난해 9천645건 등으로 매년 증가세다. 지난해 기준 포항시 1천749건, 경주시 1천210건, 경산시 1천19건 등의 순이다.
경북 시·군별로 있는 23개 보호센터 중 7곳만 지자체 직영이다. 그런데 민간이 위탁받아 운영하는 일부 보호센터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한 환경단체가 자체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A보호센터는 전직 개 농장주가 운영 중이고, 본인 사육 식용개와 함께 유기견을 관리했다. B보호센터에선 견사 앞마당에서 다른 개들이 보는 가운데 2년간 400여 마리가 안락사됐다.
경북도는 지난달 21~29일 홈페이지를 통해 유기동물 보호 정책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를 벌였다. 200여 건의 의견 중 대다수가 보호센터의 시·군 직영 요구였다. 이밖에 ▷보호센터 시설 및 사육환경 개선 ▷동물 생산·판매업 금지 법제화 ▷보호센터 반려견 입양률 확대 ▷반려동물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 확대 등이 접수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시·군과 합동점검반을 꾸려 실태점검 중이며, 문제가 드러난 보호센터는 지정 취소 등을 조치하겠다"며 "올해 추가로 6곳이 직영으로 바뀌는데, 부실한 위탁시설을 직영화하지 않으면 시·군 예산 삭감 등 불이익을 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