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젖줄' 신천 유지수 하루 10만톤 더 늘려 2급수 만든다

수질·환경 개선에 1천40억 투입…낙동강 물 공급 수질 향상 기대
가창교 상류 등 우·오수관 분리

25일 대구 신천 수성교 부근에서 신천 생태하천 모니터링에 나선 관계자들이 투망을 던져 어종을 조사하고 있다. 대구시는 신천에 서식하는 동·식물, 수질, 수량 등을 조사해 신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25일 대구 신천 수성교 부근에서 신천 생태하천 모니터링에 나선 관계자들이 투망을 던져 어종을 조사하고 있다. 대구시는 신천에 서식하는 동·식물, 수질, 수량 등을 조사해 신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권영진 대구시장이 지난 주말 신천을 방문해
권영진 대구시장이 지난 주말 신천을 방문해 '신천 프로젝트 사업' 조기 추진을 지시했다. 대구시 제공

'대구의 젖줄' 신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대구시가 1천억원 규모의 정비 작업에 나선다. 사업 규모가 커진 만큼 시 단독 사업으로 진행하려던 계획을 변경해 일부 사업에 대해서는 민간투자를 받기로 했다.

대구시는 6일 신천의 친환경 명품 생태·문화공간 조성 사업을 위해 2017년부터 2024년까지 8년간 총사업비 1천40억원 투입 계획을 밝혔다.

'신천 프로젝트 사업'으로 추진되는 사업의 주요 내용은 ▷생태용량 확장(6개) ▷역사·문화공간 조성(2개) ▷활력있는 수변공간 조성(5개) ▷스마트신천 만들기(2개) 등 4대 전략 15개 단위사업 등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까지 '술래잡이놀이터' 등 2개 사업을 완료했으며, 현재 '신천 생태유량 공급사업' 등 4개 사업은 공사 중이다. 또 '수변생태공원 조성' 등 5개 사업은 설계용역 진행 중이고 '범어천 연결로 조성' 등 5개 사업은 내년에 공사 완료 예정이다.

사업비 474억원을 투입해서는 하루 10만t 낙동강 맑은 물을 신천 유지용수로 추가 공급하는 '생태유량 공급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 2월 착공해 수처리시설 설치, 관로정비 등 현재 64%의 진도율을 보이고 있으며 내년 2월에 임시통수를 거쳐 8월에 완료한다. 사업이 완료되면 신천 유지용수가 하루 10만t에서 20만t으로 늘어나고 현재 3급수인 수질이 2급수로 개선돼 신천의 고질적인 문제인 악취 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악취요인 해소를 위해 대구시는 신천하수처리장에서부터 가창교 상류 냉천교 구간, 범어천에서 두산오거리 구간 등 총 33.3㎞의 우·오수관로 분리사업 설계용역을 시행 중이다.

신천하수처리장에서부터 성북교까지 2.5㎞ 구간은 우선 사업비 498억원을 투입해 내년 1월 공사를 착공한 뒤 가창교 상류까지 순차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관련 사업의 시급성을 감안해 신천처리구역 내 지선 우·오수 분류화 사업은 민간투자도 받을 계획이다.

권영진 시장이 최근 각별히 지시한 보행자 안전을 위해 대구시는 불편하거나 안전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제거하는 사업비를 긴급 투입기로 했다.

내년도 사업비 15억원을 조기 투입해 상동교부터 동신교까지 좌안둔치 4㎞ 구간의 산책로를 확·포장한다. 또 중동교에서 희망교 하류 자전거교육장까지의 우안둔치 및 칠성좌안둔치주차장 앞 1천20m 구간에도 사업비 21억원을 투입,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를 분리하는 등 보행환경 개선 작업에 나선다.

신천하수처리시설 위치도 (대구시 제공)
신천하수처리시설 위치도 (대구시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