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삼척 산불 주요 일지〉
◇ 3월 4일(1일차)
-오전 11시 17분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산 도로변에서 발화 신고,
-오전 11시 52분 소방당국 대응 1단계 발령, 북면 4개 마을 주민 등 3천900여 명 대피.
-낮 12시 35분 산림당국 산불 2단계 발령.
-오후 1시 50분 소방청 전국 소방동원령 1호 발령.
-오후 2시 10분 산림당국 산불 3단계 및 산불재난 국가 위기 경보 '심각' 발령.
-오후 3시 7번 국도 통제, 한울원전 울타리 불씨 침범.
-오후 5시 30분 소방동원령 2호 격상,
-오후 10시 정부, 울진과 강원 삼척에 재난사태 선포.
-오후 11시 국방부 재난대응 2단계 가동,
◇ 3월 5일(2일차)
-오전 8시 소방청 전국 화재위험경보 '심각' 단계 최초 발령.
-오후 2시 산불 남하 울진읍 가스충전소까지 불길 확산.
-오후 5시 = 울진읍 16개 마을 주민 1만 명 대피령,
◇ 3월 6일(3일차)
-오전 9시 진화율 50%,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 산불 상황 악화.
-오전 10시 45분 문재인 대통령 울진 이재민 대피소 등 방문.
-오후 2시 50분 울진, 삼척 특별재난지역 선포 재가.
-오후 5시 불길 금강송 군락지 약 500m 거리까지 진입.
-오후 7시 불영사 화재 위험으로 주요 문화재,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로 긴급 반출.
◇ 3월 7일(4일차)
-오전 7시 산림당국 금강송 사수에 진화 자원 집중.
-오후 1시 진화율 50% 발표.
-오후 5시 산림당국 등 발화지점 지나간 용의차량 4대 번호 확보.
◇ 3월 8일(5일차)
-오전 7시 금강송 군락지에 불똥 튀어 긴급 진화.
-오전 10시 금강송 군락지 피해 확인,(피해 면적 폭 100m 미만, 길이 100∼200m 구역)
-오전 11시 금강송 군락지 집중 방어
◇ 3월 9일(6일차)
-오전 9시 진화율 70%,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 보호구역 경계 부근 화선 재침범 및 진화 완료.
-오후 5시 진화율 75%.
◇ 3월 10일(7일차)
-오전 9시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머물던 이재민 덕구온천호텔 등 다른 임시 거처로 이동.
◇ 3월 11일(8일차)
-오전 7시 진화율 75%, 피해면적 1986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
-오전 9시 진화율 80%, 소나무 군락지 주불 진화.
-오후 2시 김부겸 국무총리, 유은혜 부총리 현장 방문.
-오후 5시 야간 진화헬기 수리온 배치.
◇ 3월 12일(9일차)
-오전 9시 응봉산에 헬기 80대 집중 투입. 통계 작성 이후 산불 최장 시간 기록
-오후 5시 진화율 92%.
◇ 3월 13일(10일차)
-오전 9시 울진지역 강수와 함께 최병암 산림청장 "주불 진화 완료" 발표.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