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정점을 향해 가면서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연일 폭증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섣불리 방역 완화 메시지를 발표하면서 사실상 방역에 손을 놓은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유행 정점이 지속되는 기간이 당초 예측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정부가 오는 18일 발표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1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22만617명 폭증한 62만1천328명이다. 이에 대해 중대본은 "62만명 중 7만 명은 전날 통계에 집계되지 못한 사람들이 보고된 것으로, 이를 제외하면 55만명 정도다"고 설명했다. 이를 고려해도 지난 이틀간 일 평균 50만 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날 대구에서도 1만7천109명이 발생해 최근 이틀간 하루 평균 2만 명대의 확진자가 나왔다.
같은 날 전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429명으로 직전일(164명)보다 265명 급증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인정하면서 숨은 확진자들이 발견되고, 전날 집계 시스템 오류로 누락된 확진자 7만여 명이 이날 함께 반영되면서 급증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그간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 유행 정점 시기는 이달 16~22일, 신규 확진자는 일 평균 최대 37만2천 명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날 방역 당국은 확산세가 예상보다 높은 상황인 만큼 정점 구간이 다소 길게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현재 정점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예측에는 변함이 없지만, 환자 발생 규모나 정점 구간이 얼마나 길어질지는 조금 더 계산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측 모형은 현시점에서의 변수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것인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 인정 등 여건이 변화하는 경우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18일 다음 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책 자문기구인 일상회복 지원위원회의 경제·민생분과에서는 사적모임 인원을 확대하고, 영업시간을 자정까지 연장하자는 의견이 나온 반면, 방역·의료 전문가들은 유행이 정점에 달한 상황에 방역 완화는 위험하다는 입장으로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의 방역 완화 메시지가 유행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는 확진자를 억제하는 대응 체계에서 중증·사망을 최소화하고, 일상 체계로 전환하는 과정 중에 있다"며 "이런 전환 과정에서 방역 강화와 일상회복 양쪽의 메시지가 공존하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