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오랫동안 다시 하고 싶었던 서예학원을 갔다. 학생들도 있지만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많아서인지 원장님이 나를 부르는 호칭이 '손 여사님'이었다. 나 스스로 아직 여사님으로 불리기엔 젊다고 생각하는 걸까. 그 호칭이 어찌나 어색한지 나를 부르는 줄 알면서도 딴전을 피우곤 했다.
전공의들과 의대 실습 학생들을 데리고 회진을 돌던 어느 날이었다. 전공의 과정 후 군대를 갔다 와서 뒤늦게 fellow(전임의)를 하던 동기 녀석이 날 불렀다, "손양!!" 의대 시절 내 별명은 손양이었다. 특별한 의미 없는 무미건조한 단어였지만 문제는 그 상황이었다. 나름 교수의 위치에서 전공의와 학생들을 대동하고 회진을 돌고 있는, 근엄한(?) 상황이었는데 손양이라니. "야 손양이 뭐냐 손양이. 나름 무게 잡고 회진 중인데" 이미 일은 벌어졌겠다, 나도 반말로 되받아치는데, 친구의 대답이 더 가관이었다. "내가 홍길동이냐, 손양을 손양이라 부르지도 못하고." 옆에서 듣던 전공의와 학생들까지 빵 터져버렸다.
동기의사 5명을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가 인기를 끌었었다. 교수님이지만 동기들끼리는 치고박고 주접을 떠는 얘기에 웃음이 났다. 사실 나도 그렇다. 이젠 junior 교수라고 하기는 좀 힘들고 과장까지 맡고 있는 위치지만 병원 복도에서 마주치는 동기들을 보면 여전히 그 친구의 근엄한 표정 뒤에 가려진, 그저 20살짜리 풋내기 대학생의 모습이 읽혀진다. 아마 그 친구들도 나를 보면 그럴 거다. 술 먹고 밤새워 노래하던 손양, 시험기간에 친구들을 꼬드겨서 놀러나가던 손양. '나는 학생들이 모르는 손 교수의 실체를 알고 있다' 속으론 이러고 있을 수도 있다.
그래, 마스크 뒤에 가려진 표정이 보이지 않는 것처럼 내 속에 있는 손 양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뿐, 아직 죽지 않았다. 까불거리며 인생의 낭만을 외치던 그 소녀는 손 여사의 주름살 속에 여전히 살아있다. 망설이고 주저하기보단 굳건한 믿음을 보여줘야 하는, 누리고 즐기기보단 돌보고 책임질 일이 많은 현실의 손 교수도 힘들 때는 때때로 내 안에 숨어있던 손양을 불러내 '나도 잘 모르겠는데'라며 맹한 표정으로 책임 없는 자유를 누리고 싶다.
대학시절 내 사진을 보고 아들이 "엄마 옛날엔 되게 젊었었네"란다. 세상이 다 내 것 같았던 그 시절의 미소는 정말 눈부시다.
스스로 빛날 때는 자기가 얼마나 빛나는지 알 수 없는 법이다. 우리의 찬란했던 시절도 지나고 나서야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깨닫게 된다. 그치만 그 말은, 어쩌면 지금의 손 여사도 꽃이고 별일 수 있다는 말, 5년 후, 10년 후에 2022년의 나를 보며, '2022년의 손 여사는 정말 반짝거렸었어'라고 할지도 모른다.
오늘은 나의 가장 늙은 날이지만 동시에 가장 젊은 날이다. 철없는 손양도 아름답고 갱년기 손 여사님도 아름답다. 아름다운 우리, 빛나는 오늘이 소중하다.
손수민 영남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