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를 아십니까…수도권 집중에 참여율↓

시민, 기업 종사자들 "포인트제에 대해 들어본 적 없어"
지역에서 포인트제 적립 위해 참여할 수 있는 활동 제약
전문가 "편의성 개선이 급선무, 강한 규제정책도 필요해"

경산의 한 홈플러스 계산대에 환경을 위해 종이영수증 발급을 삼가해달라는 안내문구가 적혀 있다. 심헌재 기자
경산의 한 홈플러스 계산대에 환경을 위해 종이영수증 발급을 삼가해달라는 안내문구가 적혀 있다. 심헌재 기자

일상생활에서 친환경 활동을 실천하는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가 시민들에게서 외면받고 있다. 이용 지역이 수도권에 집중된 점도 문제로 꼽힌다.

25일 환경부에 따르면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란 전자영수증을 발급하거나 다회용기를 사용한 시민들에게 현금화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의미인 '탄소중립'을 생활화하기 위해 지난 1월 19일부터 시행 중이다.

대구경북에서 전자영수증으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곳은 대구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대구점, 이마트, 홈플러스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유통업계 관계자들조차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이었다. 홈플러스 경산점 관계자는 "본사로부터 모바일 영수증에 관한 공문은 받아 시행 중이지만,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 없다"고 말했다.

전자영수증 발행을 제외한 친환경 활동이 수도권에 집중된 점도 참여율을 떨어뜨렸다. 포인트제를 이용하는 시민들은 전자영수증을 발급하면 1회당 100원의 포인트를, '리필 스테이션'(Refill station=샴푸, 린스 등을 포장용기 없이 내용물만 판매하는 상점)이나 배달용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각각 2천원, 1천원의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다. 포인트는 월 7만원까지 추후 현금이나 카드 포인트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달 기준 포인트제를 이용할 수 있는 리필 스테이션은 제주도 1곳을 제외하면 모두 서울·경기(22곳)에 자리 잡고 있다. 배달 음식을 시키면서 다회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곳도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포인트제 운영을 맡은 한국환경공단은 협업 기관을 늘리고 시민들의 참여를 촉진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기업의 참여도 절실하다"며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활동도 환경부와 협의해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용석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은 "포인트제에 참여하는 업체의 확장과 편의성 확대가 시급하다. 전자영수증도 시민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적 보완이 필요하다"며 "탄소중립을 위해 보다 강력한 규제정책을 펼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