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사면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국내·외 증시가 급락하는 등 코로나19 이후의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경제계가 보다 폭넓은 움직임을 가져갈 수 있도록 윤석열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가 쿠키뉴스 의뢰로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4명을 상대로 진행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포인트〈p〉) 결과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사면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1.7%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 중 '적극 찬성한다'는 비율은 52.2%, '찬성하는 편'이라는 응답은 19.5%였다. 반면 사면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23.3%에 그쳤으며, 그 중에서도 '적극 반대'는 11.1%로 전체 응답 가운데 가장 적었다.
연령대와 지역, 지지 정당을 가리지 않고 이 부회장의 사면에 관해선 찬성 의견이 더 높았다. 세부적으로 연령대 별로는 60대 이상의 찬성 비율이 86.8%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던 40대에서도 과반이 넘는 56.3%가 찬성 응답을 골랐다.
지역 별로도 강원권(81%), 대구경북(79%), 부산울산경남(77.9%) 등 순으로 찬성률이 높은 가운데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서울(30.1%)에서도 찬성 응답이 66.2%에 달해 과반을 넘겼다.
또 지지 정당 별로 묶어봐도 국민의힘 지지층의 91.1%가 이 부회장의 사면에 찬성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절반에 가까운 49.8%가 찬성했고 반대 응답은 그보다 적은 41.3%에 그쳤다. 심지어 진보정당인 정의당 지지층에서도 59%가 이 부회장의 사면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같은 조사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나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정치인들의 사면 여부를 묻는 질문에 관한 응답과는 극명히 대조되는 모습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에 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45.2%가 찬성, 49.4%는 반대한다고 답해 오차범위 내에서 반대가 조금 더 많았다. 또 김경수 경남도지사에 사면에 관해서는 절반이 넘는 51.3%가 '반대'를 선택했고, 39%만이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기본적으로 정치인 등 특정 인사에 대한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에는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으면서도, 글로벌 경제 위기 상황에서 우리 경제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이 전 부회장에 관해서는 같은 잣대를 들이대선 안된다는 것이 국민들의 중론(衆論)에 가깝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실제로 최근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을 비롯한 기업인들에 대한 사면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가뜩이나 민감한 세계 경제 전환기에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경제 위기 우려가 커지면서 국가 경제가 '바람 앞 등불'에 처했고, 중량급 기업인들의 활약으로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게 주장의 요지다.
지난 9일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역대 기재부 장관 초청 특별대담 행사를 통해 "사면으로 기업인들이 자유롭게 경제 활동을 하도록 길을 열어줘야 한다"며 이 부회장을 거론했다.
또 이에 앞서 3일에는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회장이 새 정부 경제팀 수장인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대구 달성군)을 만나 사면을 요청하기도 했다.
당시 손 회장은 "해외 출입국 제약을 받는 등 기업 활동에 불편을 겪는 이재용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 등 기업인들이 세계 시장에서 더 활발히 뛸 수 있도록 사면을 적극 검토해달라"고 했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번 여론조사가 보여주듯 사면에 관한 국민 여론도 나쁘지 않다는 점이 속속 확인, 이들의 주장에는 더 힘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벌써부터 사면 시점으로 오는 8월 15일 광복절 특사를 유력하게 꼽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징역 2년 6개월 실형을 선고받고 수감됐다가 지난해 8월 가석방됐다. 일단 수감 상태에서는 벗어났지만 취업제한으로 삼성 경영에 제대로 참여할 수 없고, 해외 출장에도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활동에 제약이 크다.
여론조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길리서치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