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이자 "군위 대구 편입, 신공항 착공 후 논의"…경북 의원들 이견 감지

임 국힘 도당위원장, 최근 "땅 주고 사람 주고 다 줬는데 우리는 얻는 게 뭐냐" 여론 전해
편입 뒤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 예민…착공은 총선(2024년) 이후인 2025년 유력
군위 군민 반발 불가피…"의원 입장 이해되나 '선거구 지키느라 대의 그르친다' 비판 나올듯"

임이자 국회의원(경북 상주문경)
임이자 국회의원(경북 상주문경)

'경북 군위군의 대구 편입' 법안이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질 예정인 가운데 경북 정치권에서 '착공 후 편입론'이 고개들고 있어 논란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착공 예정 시점이 2025년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차기 총선(2024년) 이후로 미루자는 뜻으로 해석된다.

지난 7월 선출돼 임기를 시작한 임이자 국민의힘 경북도당위원장은 최근 군위 편입 시점과 관련 "경북 의원뿐 아니라 도민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며 "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되고 신공항이 착공될 때 논의돼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임 위원장은 "착공도 안 된 상태에서 편입 얘기를 한다면 도민이 생각하기에 '땅도 주고 사람도 다 줬는데 얻는 게 뭐냐'라고 반문하게 된다"며 "착공부터 하고 난 뒤 편입을 얘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간 경북 정치권에서는 군위 편입을 두고 신공항 건설 전제하에 협조는 해줘야 하지만 합의문에 편입 시기가 명시돼 있지 않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목소리가 적잖았다. 올해 초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편입 법안이 논의될 당시에도 '편입이 너무 이른 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는 등 경북 의원 간 이견이 감지됐다.

이와 관련, 임이자 신임 도당위원장이 '착공 후 편입론'을 공식화한 것이어서 이목이 집중된다.

현재 행정안전부와 대구시, 경북도 등은 내년 1월 1일 편입을 목표로 연내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를 추진 중인데 서로 결이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

이를 두고 경북 의원들이 군위 편입 문제를 2024년 총선 선거구 조정과 결부해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경북 인구의 지속적 감소로 일부 선거구의 경우 존치가 위태로운데 군위 편입이 선거구 조정을 부채질한다는 것이다.

군위·의성·청송·영덕이 묶인 선거구는 현재도 인구 감소로 유지가 어려운 상태로, 인접한 예천이나 울진을 합친 선거구 조정 등이 예상 시나리오로 거론되고 있다. 이런 조정이 여의치 않으면 포항 북구 선거구에서 동 지역을 남겨둔 채 읍·면 단위를 분리해 의성·청송·영덕과 합치는 방안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된다.

차기 총선을 앞두고 경북 여러 의원 선거구 조정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를 가속화할 군위 편입에 대해 도당위원장은 물론 누구 하나 나서서 '연내 편입'을 외치기 어려운 실정이란 얘기다.

다만, 대구 정치권은 온도차를 보인다. 김용판 국민의힘 대구시당위원장은 지난 18일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상민 장관을 상대로 '군위 편입에 관심을 가져달라'는 질문을 던져 "네, 알겠습니다"라는 답변을 끌어내는 등 조기 편입을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인구 감소는 경북도가 총체적으로 겪는 현상이므로 선거구 개편 문제를 단순히 군위군 편입 탓만으로 몰아 가서는 곤란하다"며 "편입 지체 시 군위 군민 반발로 신공항 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고, 의원 개인의 유불리로 대의에 걸림돌이 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 등도 살펴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