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먹통 '알약' 모기업 이스트소프트 주가 시간외서 급락 거래

백신
백신 '알약' 캐릭터. 알약 실행 화면

30일 낮 보안 전문 기업 '이스트시큐리티'의 1천600만 이용자 보유 백신 프로그램 '알약'이 랜섬웨어가 아닌 정상 프로그램들을 랜섬웨어로 잘못 인식하는 오류를 일으켜 PC 자체가 먹통이 되는 사태가 전국 각지에서 대규모로 발생한 가운데, 코스닥에 상장돼 있는 이스트시큐리티 모기업 '이스트소프트'의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급락했다.

이스트소프트 주가는 이날 2.95%(270원) 상승한 9천410원으로 장마감했다.

그런데 알약 먹통 사태는 이날 장마감(오후 3시 30분) 이후인 오후 4시 30분쯤부터 언론 보도가 대거 쏟아지며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이날 오후 4시부터 이어진 시간외 거래에서 이스트소프트 주가는 오후 6시 마지막 거래 기준 -2.44%(230원)까지 하락한 9천180원을 나타냈다. 다만 시간외 거래는 장마감 때 작성된 종가에 반영되지 않는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이스트시큐리티는 오류 원인을 두고 "랜섬웨어 탐지 기능 고도화 적용 후, 랜섬웨어 탐지 기능 오작동으로 인한 것"이라고 밝혔고, 수동 복구 등의 방법을 알렸다.

또한 "이용자 PC에 손상을 전혀 끼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이용자들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PC 손상 여부를 떠나 장시간 PC를 이용하지 못하면서 입은 각종 피해를 언급, 실질적인 보상을 요구하는 등 불만을 나타내고 있어 알약 프로그램의 정상 작동과 별개로 논란이 좀체 숙지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날 오후 7시 30분 기준으로도 여전히 PC 사용 불가 상태라는 언급이 사용자들로부터 이어지고 있다.

이스트시큐리티는 지난 2017년 이스트소프트에서 독립했고, 내년을 목표로 상장도 준비 중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