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불경기인가요? 피부과는 드디어 마스크를 벗고 피부 관리를 받는다며 좋다고 합니다. 주가가 많이 내려서 어려운 상황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상우 인베이드 투자자문 대표가 26일 대구그랜드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에서 '불경기의 부동산 투자'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지금을 불경기라고 보느냐'는 질문으로 강의의 문을 연 그는 "예금하셨습니까"라며 두 번째 질문을 던졌다. 이 대표는 "최대 4%대 정기예금 등장하면서 예금하려는 사람이 많다"면서도 "개인 자금은 예금보다는 투자가 맞다고 생각한다. 개인 소득세를 고려하면 더 불안하고, 인플레이션도 잡히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들 겁을 내고 있다. 오늘처럼 주가가 내리고 환율이 올라가면 큰일이 날 것 같다. 손실을 피하려고 도망가는 투자로는 성공하기 힘들다. 불경기일수록 남들이 가지고 싶은 걸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극화의 거센 파도가 이번 정부 5년 동안 더 심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정부 5년 동안 전국적으로 다 똑같이 올랐지만 이번에는 좋은 매물은 올라가고 안 좋은 매물은 빠지는 현상이 가속화될 거란 설명이다.
그는 "대출이 많이 껴있고 갭투자를 많이 한 외곽 아파트는 경매 시장으로 나오고, 입지 좋은 대형 아파트는 계속 신고가를 기록한다. 지금은 더 좋은 매물을 사야 한다"고 말했다.
부동산 청약 시장도 양극화로 인한 상품성 차이가 극명하다. 이 대표는 미분양 분위기 속에서도 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대구 화성파크드림 구수산공원을 예로 들었다. 그는 "가상화폐 시장에선 이더리움만 반등했고 해외주식도 테슬라가 상승했다. 부동산 시장도 똑같다. 뭘 사도 잘 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인구 감소로 외곽에 있는 부동산을 매수해줄 사람이 줄고 있다는 점과 공사비, 인건비 증가로 상가 건물도 인기 지역이 아니면 공급되기가 어렵다는 점을 설명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가구 소득이 증가하는 점과 서울, 대구, 부산 등 대도시 1~2기 신도시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대표는 기업의 핵심 가치는 '영속성'이라며 불황을 이기면서 성장한다는 생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동산은 수요와 공급, 가구 소득, 정부 정책(세제)이 모두 연결된다"며 "개인 재산도 기업과 마찬가지로 더 늘려갈 생각을 해야 한다.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많은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중·장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의를 마무리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