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생충' '오징어게임'처럼…K-뮤지컬도 브로드웨이·일본·유럽으로 뻗어나간다

'광주''사랑의 불시착' 등…수출 '첫 걸음' 뗀 한국형 창작 뮤지컬들

뮤지컬
뮤지컬 '광주' 공연 장면. 라이브 제공
뮤지컬
뮤지컬 '광주' 뉴욕 쇼케이스 공연 포스터 [라이브 제공.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처럼, 한국 뮤지컬도 해외에서 '열풍'을 일으킬 수 있을까. 최근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국내 창작 뮤지컬이 늘어나면서 '뮤지컬 한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뮤지컬 '광주'는 뮤지컬의 본 고장인 미국 브로드웨이에 발을 들인다.

10일 제작사 라이브와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오는 20일(현지 시간) 뉴욕 브로드웨이 '787 세븐스'(787 Seventh) 극장에서 뮤지컬 '광주'의 쇼케이스 공연이 열린다.

2019년 광주문화재단의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뮤지컬 '광주'는 2019년 서울 홍익대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초연한 뒤 2021년 서울 LG아트센터, 2022년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하며 국내 관객과 만나왔다.

이번 브로드웨이 쇼케이스 공연에는 오디션을 통해 캐스팅된 현지 배우 15명이 출연하며 영어로 1시간가량 진행된다. 브로드웨이에서 활동 중인 작곡가 앤디 로닌슨이 음악감독을 맡았고 뮤지컬 '록키 호러 픽쳐쇼'의 앤드루 라스무센 감독이 연출을 맡는다.

라이브의 강병원 프로듀서는 "이번 쇼케이스로 5·18 민주화운동을 세계에 알리고, K-뮤지컬 세계화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최근 초연 개막한 뮤지컬 '사랑의 불시착'은 앞서 원작 드라마가 일으킨 한류 열풍을 이어가기 위해 일본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사랑의 불시착'은 제작사 에이투지엔터테인먼트와 T2N미디어가 지난 9월 맺은 일본 후지TV와의 협업 계약을 통해 일본 내 방송 채널에 공연 중계가 가능해졌다.

제작자 김태형 프로듀서는 "일본에서 한국어 공연과 일본 배우들이 진행하는 레플리카(원작을 복제한 작품) 공연도 함께 기획 중"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 초연 개막을 하기도 전에 해외 제작사와 판권 계약을 맺은 작품도 있다.

변호사 겸 소설가 조광희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창작 뮤지컬 '인간의 법정'은 중국의 뮤지컬 제작사 포커스테이지와 중국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유럽 엔터테인먼트 회사 지엔 아트 컴퍼니(GN Art Company)와 판권 계약을 통해 프랑스, 독일, 벨기에, 스웨덴에서도 공연의 기회가 열렸다.

이처럼 국내 뮤지컬이 아시아뿐 아니라 미국, 유럽에서도 관객과 만나려는 시도가 늘고 있지만 브로드웨이나 웨스트엔드처럼 뮤지컬 본고장에서 만들어진 작품만큼 세계 시장에 큰 파급력을 미치기엔 부족한 상황이다.

본격적인 '뮤지컬 한류'가 가능해지려면 창작 공연들이 초연한 뒤 검증과 보완의 단계를 거칠 수 있는 체계가 국내에 우선 자리잡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종원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는 "한번 완성된 작품이 그대로 유통되는 드라마나 영화와 달리 생중계로 이뤄지는 뮤지컬은 공연마다 완성도를 검증하면서 다음 단계의 시장으로 진출하는 단계별 시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