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 당내 강경파 초선 모임 '처럼회' 소속의 김용민 의원은 "국민이 바라볼 때 임계치가 넘으면, 윤석열 대통령 사퇴를 바라거나 헌법상 정해진 탄핵 절차로 가거나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14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이렇게 퇴진 집회가 지속되고 윤 정부의 무능과 거짓들이 계속 지속되는 상황이면 점점 수가 불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나 22대 총선이 임박해지는 내년 여름 이후, 가을 정도면 그런 분위기들은 훨씬 더 가시화될 수 있다"며 "대통령 퇴진론이 그 당(국민의힘) 내에서도 나올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를 두고 "문재인 정부 당시 국제무대에서 선진국 지위를 인정받았데 윤석열 정부 들어오자마자 유엔 인권이사국에서 바로 제외가 돼버렸다. 얼마나 수치스러운 일이냐"며 "국제무대에서는 대한민국 국격이 한없이 떨어지고 있고, 무능하면 차라리 현상유지라도 해야 되는데 오히려 뒤로 후퇴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퇴진 주장 사유에 대해선 "인사검증단 같은 경우에는 정부조직법을 정면으로 위반했고, 경찰국 같은 경우에도 정부조직법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며 "위법하고 위헌적인 시행령을 만든 최종 책임이 대통령에 있기 때문에 명백한 위헌·위법 사유는 이미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퇴진론이 섣부르다는 지적에 대해선 "불공정이나 불의를 바라보는 민감도가 다른 것 같다"며 "자신이 조금 빠르게 반응한 것이고 다른 분들도 어느 수치에 이르면 똑같이 생각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앞서 지난 8일에도 윤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해 윤석열 정부가 5년 임기를 채우지 못하게 하고 국민 뜻에 따라 빨리 퇴진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에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헌정질서마저 파괴하며 민심과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나 다름없다"며 "도가 지나쳐도 한참 넘었다, 정권 퇴진 선동도 모자라 이제는 '촛불 전도사'를 자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
尹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임박…여의도 가득 메운 '탄핵 반대'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