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망자 아닌 희생자" 野 요구에…대통령실 "애도의 마음과 혼동말라"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참사 추모 공간을 방문, 헌화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참사 추모 공간을 방문, 헌화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1일 '이태원 압사 참사'로 인한 사망자를 '희생자'로 불러야 한다는 야당의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사고 다음 날 아침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면서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나서는 안 될 비극과 참사가 발생했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가 뭘 축소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믿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며 "공식적인 행정 문서에서 표현하는 것을 현 정부가 가진 애도의 마음과 혼동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이태원 핼러윈 참사 이튿날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참사' 대신 '사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사상자'로 용어를 통일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정부가 사건을 축소하고 책임을 회피한다고 비판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명백한 참사를 사고로 표현해 사건을 축소하거나 희생자를 사망자로 표현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유족의 국가배상 청구 가능성에 대해선 "모든 경위와 철저한 진상 확인이 우선"이라며 "책임이나 그 이후의 문제는 진상 확인 결과를 지켜본 뒤에 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행사 주최자가 있느냐 없느냐 따질 게 아니다'라면서 철저한 대비를 당부한 것과 관련해선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모든 상황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는 앞으로의 제도 개선에 대해 말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이 연이틀 합동분향소를 찾은 것에 대해선 "윤 대통령이 부모님의 심정으로, 가족의 일이라는 생각으로 사고를 수습하고 후속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며 "대통령실과 모든 국무위원이 그런 마음을 함께 갖자는 뜻에서 (연이틀) 조문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