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3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단계적으로 해제해 권고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번 설 연휴(내년 1월 21~24일) 전에 해제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방역 당국의 전망이 나왔다.
최근 잠시 주춤했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고 있고, 'BN.1' 변이 및 재감염자 비중이 증가해 방역 상황 예측이 쉽지 않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이번 7차 유행의 확산세가 정점을 지나 안정화되고, 위·중증 및 사망자 추세가 감소세에 진입해 의료대응 역량이 안정되게 유지될 때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실내 마스크 해제 시기는 7차 재유행 정점 도달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르면 1월 말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 청장은 "내년 1월 중 완만한 정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점 이후 2주 정도 모니터링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르면 설 연휴 이후인 1월 말 정도에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가) 될 수도 있지만, 확실하게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정부는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환자 발생 안정화(주간 환자 발생 2주 이상 연속 감소)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감소(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전주 대비 감소 및 주간 치명률 0.10% 이하) ▷안정적 의료대응 역량(4주 내 동원 가능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 50% 이상) ▷고위험군 면역 획득(동절기 추가 접종률 고령자 50%·감염취약시설 60% 이상) 등 4가지 지표를 제시했다.
방역 당국은 4가지 지표 중 2가지 이상이 충족되면 중대본 논의를 거쳐 실내 마스크 착용을 1단계로 조정할 계획이다. 현재 주간 치명률(0.08%)과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68.7%) 참고치만 달성한 상태로, 4개 지표 중 1.5개만 충족한 상황이다.
1단계 조정에서는 실내 마스크를 자발적으로 착용하도록 하되, 의료기관·약국, 일부 사회복지시설(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 내에서는 착용 의무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코로나19 위기 단계가 경계 및 주의로 하향되거나, 법정감염병 등급이 4급으로 바뀌면 2단계로 조정돼 모든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이 권고로 전환된다.
방역 당국은 "지표 및 참고치가 절대적 판단 기준은 아니며, 이를 참고로 중대본에서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이라며 "마스크 의무가 완화되더라도 확진자가 급증하거나, 의료 대응체계에 부담이 증가하면 재의무화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