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출입 제한된 '용천동굴'이 눈앞에…첨단기술 더해진 자연유산

국립문화재연구원, 3일부터 천연기념물센터서 실감형 콘텐츠 선보여

실감 콘텐츠
실감 콘텐츠 '불과 물이 만든 기적, 용천동굴 대탐사' 국립문화재연구원 제공.

2005년 5월 11일 제주시 구좌읍 당처물동굴에서 약 1㎞ 떨어진 도로. 전신주를 교체하던 중 갑자기 전신주가 아래로 쑥 빠져버렸다.

그렇게 뚫린 구멍에서는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았던 동굴이 모습을 드러냈다. 여러 전문가로부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용암 동굴'이라는 찬사를 받은 용천동굴과의 첫 만남이었다.

그간 일반인이 출입하기 쉽지 않았던 용천동굴이 첨단 기술과 만난 눈앞에서 생생하게 펼쳐진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이달 3일부터 대전시 서구에 있는 천연기념물센터 전시관에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과 명승 등 자연유산을 실감형 콘텐츠로 소개한다고 2일 밝혔다.

실감형 콘텐츠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홀로그램 등을 활용한 콘텐츠를 뜻한다.

각종 표본이나 영상, 사진 자료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마치 다른 대상이 된 것 같은 느낌을 주거나 영상 속에 들어간 듯한 생생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기존에는 전시 내용을 설명하는 패널 위주로 보여줬다면 이번에는 총 6종의 실감형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이 자연유산을 쉽게 누리고 즐길 수 있도록 꾸몄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전시관 복도에 마련된 체험구역에서는 반달가슴곰, 노랑부리저어새, 산양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물이 관람객의 움직임을 따라 하거나 서로 교감하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비단벌레, 솔부엉이, 수달, 팔색조, 원앙 등 여러 천연기념물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지질 전시 구역에서는 휴대전화로 정보무늬(QR코드)를 촬영하면 한반도에 발자국 화석을 남긴 실제 공룡의 모습을 AR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 공간에서 특히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불과 물이 만든 기적, 용천동굴 대탐사' 체험실이다.

체험실은 3차원(3D) 스캔 연구 자료와 10대의 프로젝터, 스피커 등을 활용해 천연기념물이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용천동굴과 가능한 한 비슷하게 구현해냈다.

관람객들은 그간 '공개 제한지역'으로 지정돼 접하기 어려웠던 용천동굴의 모습을 생생히 느끼면서 동굴의 생성 과정, 호수 구간을 포함한 내부 모습 등을 체험할 수 있다. 동굴 속에 있는 것처럼 소리가 울리는 듯한 효과도 눈여겨볼 만하다.

전시관 내 천연보호구역과 명승 전시 구역에서는 제주 한라산과 성산일출봉을 조명한다. '꼭 가봐야 할 아름다운 천연보호구역'을 주제로 펼쳐지는 360도 전면 파노라마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천연보호구역 11곳과 명승 129곳의 사진, 정보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미디어 패널 공간도 마련돼 있다.

마지막 전시 공간에서는 매머드 골격 화석과 이를 VR 기술로 재현한 영상을 상영한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골격 표본과 함께 내장기관, 근육, 가죽, 털 등이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모습을 보면서 털매머드의 생생한 모습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