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119구급대, 지난해 심정지 환자 200명 살렸다

경북소방본부 8일 119구급활동 통계 발표…20만8천여 차례 출동, 11만4천여 명 이송
고혈압·당뇨 등 질병환자가 67% 달해, 이송 환자 59%는 60대 이상 고령자

경북소방본부 소속 119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모습. 경북소방본부 제공
경북소방본부 소속 119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모습. 경북소방본부 제공

지난해 경북 119 구급대가 20만8천여 차례 출동해 11만명을 병원에 이송하고 200여 명의 심정지 환자를 살려냈다.

8일 경북소방본부는 지난해 119구급활동 통계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출동 건수는 20만8천270건, 이송 인원은 11만4천633명으로 집계됐다. 2.5분당 1번꼴로 출동한 셈이다.

환자발생 유형별로 보면 고혈압·당뇨병 등 질병환자가 7만7천19명(67.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낙상 등 사고부상 2만2천418명(19.6%) ▷교통사고 1만2천118명(10.6%) 등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80대 이상 2만7천338명 ▷60대 2만634명 ▷70대 2만622명 등 전체의 과반(59.8%)이 고령자였다.

시간대별로는 활동량이 많은 오전 8시~낮 12시(2만7천746명, 24.2%)에, 분기별로는 3분기(3만2천210명, 28.1%)에 이송 인원이 가장 많았다.

경북소방본부 소속 119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모습. 경북소방본부 제공
경북소방본부 소속 119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모습. 경북소방본부 제공

경북소방본부는 중증 응급환자 사망률을 낮추고자 전문 인력과 설비를 확충해 왔다. 지난해 1급 응급구조사와 간호사인 전문구급대원 35명을 채용했다. 응급의료 사각지역인 농어촌에 구급차를 전진 배치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1만8천233명의 심정지·심혈관·뇌혈관·중증외상환자에게 고품질 구급 서비스를 제공했다.

아울러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등 다양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는 특별구급대도 확대 운영해 심정지 환자에 대한 전문 심폐소생술을 행했다. 그 결과 환자 맥박을 회복하는 회복률을 9.6%(2천86명 중 201명 회복)로 끌어올렸다.

이영팔 경북소방본부장은 "경북은 노령 인구가 많고 의료기관도 많지 않은 등 응급의료 취약지역이라는 한계에 처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의료사각지대에 구급차량을 확충하고 구급대원의 전문응급처치능력을 키웠다"면서 "260만 도민의 생명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경북소방본부 소속 119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모습. 경북소방본부 제공
경북소방본부 소속 119구급대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모습. 경북소방본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