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 "한일관계 해법이 국민과의 약속이자 미래 위한 결단"

대통령실, 한일관계 관련한 지난 7일 국무회의 윤 대통령 발언 공개
마무리 발언서 "강제 동원 문제 해법은 대선 공약 실천한 것" 밝혀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발표한 강제징용 문제 해결 방안과 관련, "한일관계 해법은 국민께 약속한 공약 실천이자, 미래 위한 결단"이라며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강제 동원 문제 해법은 대선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고 밝혔다고 대통령실이 13일 공개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대선 때 외교 정책은 ▷한미 경제·안보동맹을 통한 확장억제 강화 ▷김대중-오부치 정신의 계승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글로벌 중추국가 지향이 핵심 방향이었다"고 말했다.

또 "취임 초부터 외교부에 해결 방안을 주문했고, 그동안 여러 우여곡절을 통해 우리 정부의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위원들에게 "강제동원 문제를 조속히 풀어내고, 한일 간 경제·안보·문화 분야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입장을 초기부터 분명히 했다"며 정책적 뒷받침을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특히 윤 대통령 집무실 책상 위 패에 적힌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는 쇼츠 영상까지 제작, 전면에 내세우며 이번 해법이 지난 정부 5년 간 경색된 한일관계를 풀기 위한 윤 대통령의 책임 있는 결단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The Buck Stops Here"는 미국 트루먼 전 대통령의 발언으로, 윤 대통령은 대선 당시 대통령이 되면 이 문구를 책상 위에 두고 새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지난해 5월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하면서 이 문구가 적힌 패를 직접 선물했다.

한편 이번 한일관계 해법에 대해 세계 각국 정상 등 국제사회의 환영과 지지 표명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하며 지지 의사를 밝힌 국가와 국제기구는 일본을 비롯해 미국, EU,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핀란드, UN 등 총 10곳이라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일 양국의 발표는 미국의 가장 가까운 두 동맹국 간의 획기적인 협력과 파트너십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고, 미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민주당 밥 메넨데즈 의원)과 공화당 간사(제임스 리시 의원)의 지지 표명도 이어졌다.

주한 미국상공회의소는 지난 8일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변제를 맡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직접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전하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향후 강제징용 피해자와의 소통 및 의견 청취, 실질적인 권리 구제 등 후속 조치를 이어갈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은 지난 2016년 포스코에서 60억 원을 기부받은 뒤 한일관계가 경색되면서 주로 수백만원대 소액 기부금에만 의존해 왔다"며 "이에 피해자 및 유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도 1인당 연간 50만원에 그치는 등 뚜렷한 한계가 있었다"고 했다.

또 "한일관계 개선의 물꼬가 트임에 따라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의 자금이 확충되면 '강제징용 피해자 및 유족 지원 프로그램'이 본격 가동되고, 진정성 있는 추모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